X

“韓 장시간 근로자 비중, 20년간 크게 줄어..OECD 평균 수준”

이다원 기자I 2024.02.13 12:00:00

경총, 장시간 근로자 비중 관련 조사
2022년 50~60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
OECD 공표 평균과 비슷하거나 낮아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한국 임금근로자 중 장시간 근로자 비중이 과거 대비 크게 줄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6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근로자 비중은 OECD 평균 대비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이런 내용의 ‘장시간 근로자 비중 현황 및 추이 국제비교’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경총 측은 “우리나라가 더 이상 과도한 장시간 근로 국가가 아니라는 실근로시간 통계 국제비교 분석 자료를 작년 2회에 걸쳐 발표했다”며 “이번 보고서는 임금근로자 중 장시간 근로자 비중 통계를 국제비교 분석해 우리나라가 장시간 근로 국가가 아니라는 근거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조사 의의를 설명했다.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OECD는 장시간 근로를 주당 근로 시간에 따라 50시간 이상일 경우와 60시간 이상으로 구분하고 있다. 경총은 “OECD 기준에 정확히 부합하는 장시간 근로자 비중 통계는 원자료가 제공되지 않아 개념상 유사한 통계청 원자료를 분석했다”고 조사 기준을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주당 5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근로자는 실근로시간 기준 253만명,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 224만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는 전체 근로자 대비 12%, 10.3%를 각각 차지한다.

또 주당 6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근로자는 실근로시간 기준 67만명,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 58만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3.2%, 2.7%를 차지했다.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이를 바탕으로 장시간 근로자 비중을 OECD 공표 평균과 비교한 결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주당 50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은 OECD 평균(10.2%) 대비 한국이 실근로시간 기준 1.8%포인트 많았으며 소정근로시간 기준으로는 0.1%포인트 격차가 나타났다.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주당 60시간 이상 비중의 경우 OECD 평균(3.8%) 대비 한국 비중이 실근로시간과 소정근로시간 모두 낮았다.

경총 측은 “2002년에는 우리 임금근로자 중 장시간 근로자 비중이 OECD 평균보다 월등히 높았으나 이후 우리 장시간 근로자 비중이 가파르게 감소해 이제는 OECD 평균과 비슷해진 것으로 분석된다”고 강조했다.

2002년 우리나라 50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은 △실근로시간 기준 47.9% △소정근로시간 기준 42.6%로 OECD 공표 평균(12.3%) 대비 각각 35.6%포인트, 30.3%포인트 컸다. 60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도 △실근로시간 기준 22.1% △소정근로시간 기준 20.0% 등으로 OECD 공표 평균인 5.8% 대비 두 자릿수 이상 차이를 보였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실근로시간과 장시간 근로자 비중 통계 모두 우리나라가 더 이상 장시간 근로 국가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며 “근로시간을 더 단축하기 위한 노력은 여전히 필요하지만, 장시간 근로 해소가 정책 목표가 될 시기는 이미 지났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어 “규제 위주 근로시간 정책 패러다임을 유연성과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 패러다임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