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청정수소 생산단가 낮춘다…2050년 최대 에너지원 '석유→청정수소'

임애신 기자I 2021.11.26 11:38:00

김부겸 총리 주재 '4차 수소경제위원회'
청정수소경제 확산 및 가속화 방안 논의
"2050년까지 청정수소 비중 100% 만들 것"
자급률 60% 목표 "최대 에너지원 석유 대체"

‘2021 울산 국제수소에너지전시회’에서 관람객들이 수소전기차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데일리 임애신 기자] 정부가 0%인 청정수소 비중을 100%로 만들고 자급률을 60% 이상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이렇게 되면 현재 최대 에너지원인 석유를 제치고 수소가 단일 에너지원 중 최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이 같은 에너지원의 전환으로 온실가스가 약 2억t 이상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수소경제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8개 관계부처 장관과 산업계·학계·시민단체 등 분야별 최고의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대한민국 수소경제 컨트롤타워다.

이번 위원회는 정부가 제시한 ‘수소선도국가 비전’ 실현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달성을 위해 핵심인 청정수소경제 확산과 가속화 방안 논의를 위해 열렸다.

산업부는 이날 ‘수소선도국가 비전’에서 제시한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 주도 △빈틈없는 인프라 구축 △모든 일상에서 수소 활용 △생태계 기반 강화 등 4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15개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2050년 연간 2790만t의 수소를 100% 청정수소(그린·블루수소)로 공급하고, 국내 생산은 물론 우리의 기술과 자본으로 생산한 해외 청정수소를 도입해 청정수소 자급률을 60%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청정수소 개발 및 보급을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 지난해 기준 청정수소 비중은 0%다. 정부는 2030년 75%, 2050년 100%씩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청정수소의 생산 단가를 낮추기에 돌입한다.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수전해 실증으로 그린수소의 대규모 생산 기반을 구축해 2050년에는 300만t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안정적인 수소 수급을 위해 2030년에는 비축기지를 건설하고 국제거래소도 설립한다.

청정 수소를 적용할 수 있는 인프라도 구축한다. 수소차 생산 능력을 2050년까지 526만대로 대폭 확대하고, 2030년까지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성능을 제고할 예정이다. 자동차뿐 아니라 선박과 드론, 트램 등으로 수소를 확대 적용한다.

수소충전소 확대에도 힘쓴다. 2050년까지 주유소와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소를 활용해 2050년까지 2000기 이상의 수소 융복합 충전소를 만든다.

석탄과 LNG발전소, 산단 인근에 수소 항만도 구축한다. 내년부터는 기존에 깔린 천연가스망을 활용해 수소 배관망을 구축해 수소를 혼입하는 것을 검토한다.

산업 부문도 신규·노후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수소연료 사용을 유도하고,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온실가스 고배출 산업을 대상으로 수소기반 공정전환과 연료·원료를 수소로 대체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수소가 250년 최종에너지 소비의 33%, 발전량의 23.8%의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라며 “최대 에너지원인 석유(49.3%)를 제치고 2050년에는 단일 에너지원으로써는 최대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내다봤다.

수소 전환으로 인해 온실가스는 약 2억t 이상의 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또 수소 관련 1319조원의 경제 효과와 56만7000명의 일자리를 창출도 가능할 것으로 봤다.

(자료=산업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