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신동민의 인생영업]코로나가 바꿀 대학의 미래

최은영 기자I 2020.04.16 06:00:00

코로나 사태에 대학들 원격강의 시작했지만
중고교 때 인강 듣던 학생들 눈높이 못따라와
교육 소비자인 학생들 선택권 넓어져가는데
대학, 살아남으려면 미래 교육 적극 준비해야

[신동민 주한글로벌기업 대표자협회 회장·‘나는 내성적인 영업자입니다’ 저자] 2020년을 혼란의 도가니에 빠져들게 만든 코로나19 사태가 사회 곳곳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바이러스는 눈에 보이지도 않고 현미경으로도 파악하기 어려운 정말 작은 존재인데 지구를 호령하던 인간을 엄청난 시련에 빠뜨리고 있다.

인간은 지식의 축적과 교육이라는 시스템을 가지고 이 지구에서 만물의 영장으로 살아왔다. 유구한 인류의 역사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서도 교육은 인간을 풍요롭게 만들었고 개인은 교육을 통해서 더 나은 삶을 실현했다. 특히 산업사회에서는 사회계층의 사다리를 올라갈 수 있는 기회로 이용했다. 우리가 교육에 맹목적으로 매달리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예기치못한 보이지 않는 작은 바이러스 때문에 수백 년을 이어온 정규 교육이 대혼란에 빠졌다. 서로 대면을 할 수가 없으니 지식의 전달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다행이도 통신의 발달로 우리는 온라인 강의라는 것으로 대응하고 있다. 사실 온라인 강의가 새로울 것도 전혀 없다. 현재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인터넷강의로 입시 공부를 했고, 대학에 진학을 했다. 그들에게는 익숙한 형식이다.

막상 온라인 개강을 하고 보니 교육의 수요자가 아닌 공급자에게서 문제가 발생했다. 학생들은 온라인 강의에 너무나 익숙한 소비자인데, 정작 온라인 교육을 해야 하는 교수들에게는 접해보지 않은 새로운 세상이었다. 필자도 온라인 강의 전환에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 다국적 기업에 오랫동안 근무하면서 온라인 회의 같은 환경에 익숙하지만 막상 작은 카메라를 바라보면서 학생들의 반응이 어떤 지도 모른 채 혼자서 강의를 한다는 것은 엄청난 도전이었다. 마치 벽을 보며 이야기하는 기분이었다. 한 두주 강의는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하겠는데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면서 전체 학기를 온라인 강의를 해야 한다는 공지에 당황스러울 수 밖에 없었다. 교수들뿐만 아니라 학교당국도 갈피를 못 잡고 있다. 수업의 기준, 기술적인 문제등 해결해야 될 문제들이 너무나 많다.

곤란한 교수들 입장과 달리 학생들의 입장을 보면 그들은 불만이 한 가득이다. 중·고등학교 시절 인터넷 유명강사들의 화려한 언변과 흥미 유발 그리고 훌륭한 영상기술에 익숙해진 그들에게 순수 아마추어 교수들이 녹화한 강의는 차원이 다른 것이다. 소비자는 프로인데 공급자는 아마추어인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학생들이 등록금 반환을 요구하고 강의의 질을 개선해달라고 거칠게 요구를 하고 있다.

원격강의로 수업을 듣고 있는 대학생(사진=연합뉴스)
학생들은 엄청난 경쟁을 거치고 대학 입학이라는 관문을 통과했다. 그리고 본인의 전공에 따라 수강할 과목을 선택했다. 그 선택은 주어진 교과과정 중에 한정된 것이었다. 물리적으로 강의실에서 교수와 대면을 해서 수강을 하는 구조에서 최선의 선택을 한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등장한 온라인 수업은 강의를 학교 강의실에서 개방된 시장으로 끌어냈다. 우리학교 전공강의와 타학교 전공강의와 비교가 시작된 것이다. 물론 현실적으로 다른 학교의 강의를 직접 들을 수는 없겠지만 온라인상에 엄청나게 많은 컨텐츠와 비교를 할 수 있게 됐다. 교육 소비자의 선택 영역이 급변했다.

세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공개수업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를 보면 전세계 어디서든 인터넷만 연결된다면 세계적인 수업을 들을 수 있다. 2011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온라인으로 3개의 강좌를 열면서 온라인 공개수업(MOOC)가 시작됐는데, 각 강좌당 약 십만명이 수강하는 선풍적인 인기를 불러 일으켰다. 2018년말 전세계 900여개의 대학에서 1만1400개의 공개수업 강의가 등록되어 있고 사용자가 무려 100만명에 달한다. 사실 세상이 필요로 하는 강의는 온라인으로 모두 존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에서도 2015년 한국형 무크(K-MOOC)를 소개하면서 온라인으로 누구나, 어디서나 원하는 강좌를 무료로 들을 수 있다. 정부산하 기관인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한국형 무크를 온라인 무료 공개 강좌로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말 현재 50만명의 회원수에 100만건 이상의 수강이 이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온라인 강의는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다만 우리는 온라인 교육으로 획기적으로 전환하기 보다는 보충적인 방법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관점의 전환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제는 단순히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될 때를 기다릴 때가 아니라 교육의 미래와 학교의 미래를 생각해 보아야 될 시점이 되었다. 기술적으로 준비가 되어 있고 교육의 소비자는 이미 충분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미래를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대학은 무료 교육기관이 아니다. 학생의 부모들이나 학생본인이 일을 해서 막대한 등록금을 지불한다. 부모들은 자식들이 좋은 학교에서 훌륭한 교육을 받기 원하고 대학의 졸업장을 간절히 바랄 것이다. 학생들은 어떤가. 그들은 소비자로서 대학교육에 기대하는 바가 많을 것이다.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지불한 그들은 당당하게 권리를 요구하고 있다. 번듯한 학교 건물과 넓은 캠퍼스가 그들이 원하는 것이 아니다. 예전처럼 어떻게 하던지 대학 졸업장만 가지고 나가겠다던 기대도 혹독한 취업난으로 무디어졌다. 그렇다면 그들은 왜 비싼 비용을 내고 학교를 다녀야만 하는가. 일부대학에서는 학생들의 감소로 정원을 채우기 힘들다고 하소연이다. 이제는 모든 대학들이 학생들의 진학의욕 감소를 걱정해야 될 시점이다. 대학교육이 학생들에게 무엇을 제공하는지를 분명하게 정의해야 한다. 번듯한 대학 간판과 오랫동안 변하지 않는 수업은 더 이상 소비자의 구매 욕구가 아니다. 코로나19 사태는 이런 변화를 엄청나게 촉진시킬 것이다. 현재 부모세대들이 바라보는 대학과 20대의 학생들이 바라보는 대학은 완전히 다른 것인지 모른다.

최근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에서 실시한 온라인 강의 실태조사에서 ‘만족’ 혹은 ‘매우 만족’이 6.7%로 조사됐다. 외국에서는 온라인으로 개설되는 대학 수업에 가격을 매기고 통계를 보여줘 선택을 돕는다고 한다. 수업이 소비재로서 인식되는 것이다. 이런 와중에 6.7% 만족도의 소비재는 전혀 판매가 불량한 함량 미달의 제품이다. 단기간의 문제로 치부할 수 있지만 앞으로 교육 현장은 코로나 사태 전과 후로 구분될 것이다. 미래의 교육 소비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분명하게 알아야 한다. 그들은 차라리 유튜브 동영상을 보겠다고 할지도 모를 일이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