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中 제2 한한령 우려에…면세·뷰티업계 돌파구 마련 고심

백주아 기자I 2023.06.07 06:45:00

2017 사드 사태 타격 재현 우려
免, 중국 단체 유입 더뎌 매출 회복 지연
뷰티업계, 중국 내수 불확실성 가중
중장기적 중국 의존도 낮춰 위험 분산

[이데일리 백주아 기자]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재개)에 따른 반등을 기대했던 면세·뷰티 업계가 한·중 관계에 이상기류가 나타나면서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외교적 불확실성 속에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재현 우려가 불거지면서 업황 회복 기대도 다시 저무는 모양새다. 업계는 높은 중국 의존도에 따른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돌파구 마련에 나서고 있다.

지난달 21일 오전 인천공항 제2터미널 면세구역에서 여행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6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의존도가 높은 면세·화장품 업계는 한·중간 정치적 갈등 양상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지난 2017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사태로 촉발된 한한령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면세업계, 큰 손 중국인 유입 지연에 회복 요원

면세업계는 중국 관광객 유입에 따른 반등을 기대했지만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효과를 크게 체감하고 있지 못하는 분위기다. 중국인 관광객이 늘었지만 중국이 지난 3월 자국민 해외 단체여행 허용 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하면서 단체 관광길이 여전히 막힌 상황에서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기 때문이다.

한국관광공사 관광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은 10만5967명으로 전년동월(1만230명) 대비 10배 이상 늘었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월(40만명)의 26% 수준에 불과하다.

면세점 3사는 중국 보따리상(다이궁)에 지급하는 송객 수수료를 낮추며 지난 1분기 흑자 전환을 이뤄냈다. 하지만 다이궁 발길이 동시에 줄어들면서 매출도 크게 타격을 입었다. 롯데면세점의 1분기 매출은 7542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39.5% 감소했다.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의 매출은 각각 6085억원, 51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33.8% 줄었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전의 약 70% 수준까지 올라왔다는 판단이지만 한중 관계가 얼어붙으면서 단체 관광 비자 문제 해결이 지연될 것 같아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화장품 업계 중국 시장 회복 ‘시계 제로’

중국 내수 시장 회복과 함께 하반기 본격적인 실적 반등을 기대했던 화장품 업계는 한중 관계 경색에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중국 내 ‘궈차오(애국주의 소비)’ 열풍이 지속되면서 과거 선전하던 K뷰티 브랜드가 중국 토종 브랜드에 자리를 내주면서 설 자리를 잃고 있다는 판단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난달 발표한 ‘2023 1분기 보건산업 수출 실적’에 따르면 국내 화장품 수출은 18억8900만달러로 전년동기(18억4700만달러) 대비 2.3% 증가했지만, 전체 수출액의 34%를 차지하는 중국(6억4400만달러) 수출액은 같은 기간 20.8% 감소했다.

화장품 대기업들은 중국 시장 부진에 따른 실적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허리띠 졸라매기에 돌입했다. 국내 뷰티 대기업 LG생활건강(051900)은 지난 2일부터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실시하며 경영효율화 작업에 들어갔다. 아모레퍼시픽(090430)도 코로나19 직격타를 입은 2020년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中 의존도 낮추고 해외 시장서 활로 모색

업계는 기업이 정치·외교적 이슈를 통제할 수 없는 만큼 시장 다각화를 통해 해외 매출을 끌어올리는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중국에 치우친 의존도를 낮춰 위험 분산(리스크 헷지)에 나선 것이다.

면세업계는 국내 면세점에서 빠진 매출을 해외 매출로 메우고 중국 단체관광 비자가 허용되기 전까지는 일본, 동남아 관광객 유치에 힘을 쏟는다는 전략이다. 롯데면세점은 이달 호주 멜버른 공항점과 하반기 베트남 하노이 시내점을 연다. 지난 1일에는 롯데호텔과 함께 일본 도쿄와 오사카에서 로드쇼를 열고 일본인 관광객 모시기에 나섰다. 신라면세점은 엔데믹과 함께 홍콩, 싱가포르, 마카오 등 해외 면세점 운영을 재개했다.

뷰티업계도 북미 시장 공략에 힘을 싣고 있다. LG생활건강의 지난 1분기 기준 북미 매출은 136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1% 성장했다. 같은 기간 아모레퍼시픽의 북미 시장 매출은 6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LG생건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대내외 경제 여건과 유통 환경의 변화에 따라 북미 사업 전반을 재정비하고 있다”며 “북미 지역의 사업 역량과 운영 체계를 강화하고 현지 시장과 고객 특성에 맞는 브랜드와 사업 간의 시너지 확보에 적극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