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번 덧칠해 얻어낸 그윽한 빛…이화자 작가 "평생 '한국성' 그림에 담아"

이윤정 기자I 2023.10.19 05:30:00

‘이화자 개인전-창연(蒼然)’
초기작부터 최근작까지 한 자리에
전통 방식 고수한 채색화의 대가
"우리 고유성 지키려 평생 노력"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청둥오리의 오묘한 청색을 내기 위해 종이 위에 무려 예순 번씩 덧칠을 했다. 물을 빨아들이는 종이 위에 색이 쌓이고 스며들게 하기 위해서다. 오랜 시간이 걸리는 지난한 작업이지만 하나하나 정성들여 채색한 그림은 그야말로 한국적인 은은한 빛을 뿜어낸다. 한국 채색화의 명맥을 이어온 이화자(80) 작가가 작업을 하는 방식이다. 이제는 나이가 든 탓에 1시간을 그리면 2시간을 쉬어야 하지만, 이 작가는 여전히 한국적인 채색법을 고집하고 있다.

그의 초기작과 중기작, 최근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와 색채로 한국적 아름다움을 표현한 작품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10월 18일부터 12월 9일까지 서울 중구 덕수궁길 스페이스 소포라 갤러리에서 열리는 ‘이화자 개인전-창연(蒼然)’에서다.

덕수궁 돌담길 정덕원에 문을 연 스페이스 소포라는 한때 대한제국의 황궁이 있던 곳이다. 이 역사적인 장소에서 한국적인 작품을 소개하는 전시를 선보인다. 전시의 주제인 ‘창연’은 “오래된 옛것으로부터 그윽한 빛이 나온다”라는 뜻으로 흔히 “고색창연”과 같이 사자성어로 사용된다.

17일 스페이스 소포라 갤러리에서 만난 이 작가는 “우리의 고유성을 끄집어내지 않으면 훗날 더욱 선진국이 됐을 때 우리의 것이라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비록 구닥다리라 할지라도 ‘나라도 한국적인 것을 그림으로 지키자’는 마음으로 평생 그림을 그려왔다”고 말했다.

이화자 작가가 자신의 작품 ‘4월’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M).
“가장 한국성 추구한 작가”

홍익대 동양화과를 졸업한 이 작가는 박생광(1904∼1985), 천경자(1924∼2015) 화백의 제자이자 채색화 2세대다. 1960~1970년대 한국 채색화의 발전에 기여했고, 1990년대 현대화의 물결 속에서도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해왔다. 그가 한국화를 하는 사람 중에 가장 한국성을 추구했다는 평을 듣는 것은 이러한 세월의 방증이기도 하다.

이 작가는 석채, 분채 등의 전통 재료들을 고집스럽게 사용해 토속신앙, 불교 미술을 바탕으로 풍경, 화조, 영모화 등을 표현해왔다. 그의 작품에서는 전통적인 소재부터 표현 기법, 색채까지 모든 요소에서 한국적인 아름다움이 배어 나온다.

이화자 작가(사진=이데일리M).
한지 위에 비단천과 화선지를 통해 콜라주로 표현한 ‘풍어제’는 우리나라의 전통 제의를 상기시킨다. 나무에 색색의 천을 달아 안녕을 비는 ‘서낭당’을 담아낸 작품들에서는 토속 신앙을 엿볼 수 있다. 붉은색과 녹색, 흰색 등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세 가지 색깔을 작품에 사용한 점이 눈길을 끈다. 이 작가는 “한국의 대표적인 색깔들은 화려하지만 결코 유치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작품을 만들 때는 작은 요소에도 공을 들인다. 물가에서 노니는 청둥오리를 표현한 ‘4월’(APRIL)을 그릴 때는 암수 두 마리를 사서 6개월 동안 집에서 직접 길렀다. 목을 흔드는 모습이나 털 하나하나를 새면서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였다. 이 작가는 “대상을 완벽하게 이해한 후에라야 좋은 작품이 나온다”며 “한국성을 강조하기 위해 한국인에게 익숙한 쑥을 하단에 그려 넣었다”고 설명했다.

‘이화자 개인전 창연(蒼然)’ 전경. 왼쪽에 보이는 그림이 ‘영남루의 전설’이다(사진=이데일리M).
‘영남루의 전설’을 그릴 때는 물가에 점점 가라앉는 비단치마를 표현하기 위해 실제 비단치마를 물 위에 띄워놓기도 했다. 화면 위로 길에 내려온 수양버들은 꺾으면 30분 만에 시들어버리는 탓에 직접 가서 보고 그려넣었다. 이 작가는 “‘장화홍련’과 ‘아랑 전설’을 바탕으로 상상을 가미했다”며 “으스스한 달밤에 누군가 물에 빠지고 나서 치맛자락만 물가에 남아있지 않았을까 상상하면서 그렸다”고 설명했다.

최근작에는 계절에 따른 아름다운 풍경이 등장한다. 가평의 한 카페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노을을 그린 ‘회상’과 집근처 공원의 가을풍경을 그린 ‘강변공원의 가을’, ‘겨울 두물머리’ 등이 비교적 최근에 그린 작품들이다. 이 작가는 “한국의 풍경을 담은 것 또한 한국적인 것이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한국화는 서양화와 재료와 기법 자체가 다르다”며 “두번세번 덧칠할수록 숙성이 돼서 은은하고 깊은 색이 나온다”고 했다.

이 작가는 여전히 가장 한국적인 게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그는 “한국화의 채색법이 워낙 까다로워서 전통이 나의 대에서 끝날 것 같아 걱정스럽다”며 “이번 전시를 보면서 ‘한국화라는 건 이런 것이구나’를 몸소 느끼고 몰랐던 한국성을 발견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화자 작가의 ‘풍어제’(사진=스페이스 소포라).
이화자 작가의 ‘회상’(사진=스페이스 소포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