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급격한 脫중국은 리스크"..기업들, '용미용중' 새 돌파구 찾는다

김상윤 기자I 2022.07.04 06:00:00

[한중 수교 30년]제2한한령 우려 커져…대기업 초긴장
롯데 테마파크 사업 매각 추진..아모레퍼시픽 매장 폐쇄
풀무원 '두부' 사업 지속, LG전자 전장사업 투자 확대도
"중국 의존도 완전히 없앨 수 없어..용미용중 전략 필요"

[이데일리 김상윤 최영지 이다원 기자] “중국은 더는 기회의 땅이 아닌 지 오래됐지만, 나름의 기회를 찾아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치·외교적 문제로 ‘제2 한한령(한류 제한령)’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 시나리오별 리스크를 재점검하고 있습니다.”(재계 관계자)

중국이 최대 수출 시장임에도 불구 한국 기업들이 중국 사업을 재정비하거나 중국을 탈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2016년 한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이유로 한 중국의 보복 경험이 강하게 뇌리에 박혀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 제로’ 정책 고수에 따른 경기 부진과 공급망 훼손까지 터지면서 불확실성이 너무나 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급격한 탈(脫)중국 역시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급격한 체질 악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중국과 협력 모델을 지속 발굴해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왕치산 중국 국가 부주석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지난 6월25일까지 대중 수출액 증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6.5%에 그쳤다. 전체 수출액 증가율이 14.7%임 점을 감안하면 제1 수출시장의 수출 증가율은 눈에 띄게 줄어든 셈이다. 반면 대미 수출액은 16.9% 늘었고,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베트남 수출액도 각각 67.8%, 31.2%, 22.2%나 급증했다. 전체 수출액에서 중국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23.4%로 사드 보복이 본격화하기 전인 2015년(26.0%)에 비해 2.6%포인트가 줄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지난달 28일 마드리드에서 “중국 성장이 둔화하고 있고, 내수 중심의 전략으로 전환되고 있다”면서 “지난 20년간 우리가 누려 왔던 중국을 통한 수출 호황 시대는 끝나가고 있다”고 진단한 게 데이터로도 입증된 셈이다.

상당수 대기업은 중국 사업을 축소하거나 접고 있다. 롯데는 중국 랴오닝성 선양(瀋陽)의 테마파크 사업을 약 2조원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사드 문제가 불거진 후인 2016년 12월 중국 당국의 명령으로 공사가 중단됐고, 이후 2019년 인허가를 받긴 했지만 코로나 19여파로 사업은 멈췄다. 아모레퍼시픽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국 내 1000개 이상의 화장품 매장을 폐쇄하고 미국과 동남아 시장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현대차 등도 중국 사업을 일부 정리하거나 재정비하고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중국에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보유하고 있고, 중국 사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여전히 중국이 큰 시장인 만큼 놓칠 수 없기 때문이다.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새로운 경제질서에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검토하고 대응하고 있지만,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국 시장 비중을 고려하면 완전한 탈 중국은 불가능하다.

실제 탈중국 기조 속에서 틈새 시장을 노려 성공한 케이스도 적지 않다. 실제 두부를 팔겠다고 도전장을 내민 풀무원은 중국 진출 10년 만에 흑자를 달성하고, 공장을 추가로 증설하는 등 대륙 공략에 나서고 있다. 2공장 준공으로 중국 내 두부 생산능력이 연간 1500만모에서 6000만모로 4배 커졌다. 코로나19로 중국 지방의 두부 공장들이 잇달아 문을 닫았지만, 공장을 계속 가동하면서 봉쇄지역에 두부를 직접 공급했던 효과를 보면서다.

LG전자와 캐나다 마그나인터내셔널의 합작법인인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도 최근 중국 공장 설비를 증설하는 데 1000억원 이상을 투입했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중국 전기차 수요를 고려해 선제적으로 투자를 늘리고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복안이다. LG전자의 전장사업은 올 2분기 ‘흑자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26분기 만의 성과다.

이재수 전경련 아태협력팀장은 “지금은 중국과 한국이 중간재, 완성재 공급 등 많은 분야에서 얽히고설켜 있어 무역 보복을 할 경우 서로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예전처럼 중국 시장에 대거 투자에 나설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정치외교적 상황과 별도로 기업들이 중국 기업과 상호보완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모델을 꾸준히 이어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승찬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는 “전기차 배터리용 흑연 등 핵심 수입품 가운데 80% 가량을 중국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중국 의존도를 완전히 없앨 수도 없고, 중국 역시 마찬가지다”면서 “지자체와 기업들간 산업협력 모델을 꾸준히 구축하는 등 미국과 중국 시장을 함께 이용하는 용미용중(用美用中)을 포기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