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K오컬트 매력에 숨은 역사 코드…'파묘' N차 관람→흥행 질주의 비밀

김보영 기자I 2024.02.29 07:00:00

오컬트를 주류로 바꾼 장재현 감독 신작으로 화제
숨은 상징 활용한 '사바하' 기법, '파묘'에서 날개달아
우리 민족 아픔 담아… 관객이 직접 발견하는 재미도
"현재=과거와 연결됐단 의식…역사 코드 흥행이 입증"

영화 ‘파묘’ 포스터(사진=쇼박스)
[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영화 ‘파묘’(감독 장재현)가 무서운 속도로 관객을 끌어모으며 극장가에 신명나는 굿판을 펼치고 있다. ‘파묘’는 최민식, 김고은, 유해진, 이도현 각 세대를 대표하는 정상급 배우들이 처음 도전한 오컬트(초자연적 현상) 장르물로 개봉 전부터 이미 예비 관객의 관심이 컸다. ‘검은 사제들’, ‘사바하’ 두 오컬트 장르 영화를 연달아 흥행시킨 장재현 감독의 신작이란 점도 기대감을 높였다. 보통 개봉 전의 기대와 관심은 영화가 베일을 벗은 뒤 시들해지기에 마련. ‘파묘’는 달랐다. 여러 상징을 숨긴 ‘역사 오컬트’란 입소문이 관객들 사이 번지면서 개봉 이후 훨씬 큰 화제성과 파급력을 보여주고 있다. 단서들을 통해 관객들이 내놓는 다양한 역사적 해석들이 고명처럼 영화의 매력을 더했다는 분석이다.

영화 ‘파묘’ 스틸컷(사진=쇼박스)
전작부터 이어진 상징적 연출…해석의 재미 유발

지난 22일 개봉한 ‘파묘’는 거액의 돈을 받고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와 장의사, 무속인들에게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그린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다. 개봉 4일 만에 초고속으로 200만 관객을 넘어선 ‘파묘’는 개봉 7일째인 28일 300만 관객을 돌파해 손익분기점인 330만명에 근접했다. 지난해 개봉해 1300만명을 돌파한 영화 ‘서울의 봄’보다 빠른 기록이다. 이대로면 개봉 한 달 안에 1000만 영화가 될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초자연적 현상이나 악령, 악마 등을 소재로 다룬 오컬트는 오랜 기간 콘텐츠 시장에서 소수만이 즐기는 비주류 장르로 여겨졌다. 이를 국내 상업영화 시장의 주류로 끌어올린 게 장재현 감독이다. 오컬트에 미스터리를 결합한 ‘검은 사제들’로 500만 이상, 후속작인 ‘사바하’로 200만 이상 관객들을 동원하며 K오컬트의 이미지와 위상을 높였다. 장 감독이 5년 만에 내놓은 신작 ‘파묘’를 향한 관심이 처음부터 높았던 이유다. 여기에 풍수사와 장의사, 무속인들을 주인공들로 내세우고 우리나라의 전통 풍수지리와 무속신앙을 소재로 결합한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라는 점이 더 큰 호기심을 자극했다. 오컬트로선 이례적으로 지난 26일(한국시간) 폐막한 제74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 초청돼 극찬받았다는 점도 기대감에 한몫했다.

장재현 감독은 영화 곳곳에 숨은 상징적 단서들을 배치해 호평을 얻은 전작 ‘사바하’의 기법을 이번 ‘파묘’에서도 적극 계승하고 활용했다. 한 번 봐선 그냥 지나칠 수 있는 등장인물의 이름이나 대사, 소품들에 숨은 비유나 메시지를 은밀히 끼워 넣는 연출 방식이다. ‘사바하’는 개봉 당시 여러 번 곱씹어야 깨달을 수 있는 숨은 상징을 찾는 재미로 관객들 사이 N차 관람을 낳았다. ‘파묘’는 이야기의 숨은 복선 및 단서들에 우리 민족의 시대적 아픔과 연관된 역사적 요소를 녹여 전작 때보다 더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영화를 안 본 젊은 예비 관객들은 물론 오컬트에 관심이 없는 중장년 관객들의 궁금증까지 유발 중이다.

영화 ‘파묘’ 스틸컷(사진=쇼박스)
등장인물 이름·차량 번호에 숨은 역사 코드

대표적인 게 등장인물들의 이름이다. 김상덕(최민식 분), 고영근(유해진 분), 이화림(김고은 분), 윤봉길(이도현 분) 등 ‘파묘’의 주연들을 비롯해 오광심(김선영 분), 박자혜(김지안 분) 등 조연 배역들이 전부 일제강점기 때 활약한 독립운동가들의 이름에서 따왔다. 장재현 감독이 먼저 밝힌 게 아닌, 관객들이 영화를 보고 직접 발견해 낸 사실이다. 중요 장소로 등장하는 절 이름이 나라를 지킨다는 뜻의 ‘보국사’인 점, 짧게 소개된 ‘철혈단’이라는 조직이 실존한 독립운동 단체라는 사실도 이목을 집중시켰다. 주인공 김상덕이 파묘 후 묘 안에 10원짜리 동전 대신 이순신 장군이 새겨진 100원짜리 동전을 던지고, 등장인물의 차량과 운구차의 번호가 ‘1945’, ‘0301’, ‘0815’ 등 독립운동과 관련한 날짜와 맞아떨어진다는 점 역시 눈길을 끈다. 장재현 감독은 구체적 해석에는 말을 아끼면서도 “독립운동가 중 잘 알려지지 않은 분들의 이름을 알리고 싶었다”며 “내가 살고 있는 땅과 우리의 과거를 돌이켜보면 상처와 트라우마가 많다. 그것을 ‘파묘’로 표현해 보고 싶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도 ‘파묘’의 흥행 비결로 영화에 숨은 역사적 코드가 해석의 재미를 낳아 N차 관람으로 이어지는 점을 주목했다. 윤성은 영화평론가는 “‘파묘’는 영화 속 공포의 근원이 중반부를 기점으로 크게 전환된다는 점에서 묘한 반전의 매력을 지닌 영화”라며 “그 과정에 우리의 뼈아픈 역사가 관계돼 있다는 점이 갑작스럽게 느껴질 수 있지만 ‘파묘’는 배우들의 연기와 스토리의 완성도로써 호불호로 갈릴 수 있는 심리적 부대낌을 무난히 극복해냈다”고 분석했다. 이어 “우리의 현재 삶이 과거와 연결돼 있다는 국민적 의식이 ‘서울의 봄’을 시작으로 ‘파묘’까지 근현대사 코드가 담긴 영화들의 흥행들로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고도 부연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역시 “요즘의 극장 흐름을 비춰봤을 때 이런 역사적 코드들이 영화의 흥행에 꽤 결정적인 요소로 부상 중”이라며 “장기 흥행을 위해 입소문과 끊임없는 이야깃거리가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그 요소들을 이야기 소재 및 구조와 어울리게 배치했기에 시너지를 더 발휘하는 것”이라고 평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