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무통주사 못 맞아"…황보라, 의료파업 저격 사과 [전문]

최희재 기자I 2024.06.18 19:16:41

"제왕절개 당시 무통주사 처방 받아"
"부적절한 표현 죄송"
의협 입장에 영상 삭제

황보라
[이데일리 스타in 최희재 기자] 배우 황보라가 출산 당시 의료파업으로 무통 주사를 맞지 못했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정정, 사과했다.

황보라는 18일 자신의 SNS를 통해 “지난 16일 업로드된 ‘오덕이 엄마’에서 제왕절개 출산 과정을 묘사하던 중 오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 직접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그는 “지난 5월 말, 저는 제왕절개 후 무통 주사 PCA를 처방받았다. PCA는 ‘자가 통증 조절 장치’가 포함돼 있으며, 병원 측으로부터 자세한 사용법 안내를 받았으나 수술 후 경황이 없어 인지의 오류가 있었다”며 “매 순간 최선을 다해 애써주셨던 담당 교수님과 병원 관계자분들께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또 황보라는 페인버스터를 언급하며 “제왕절개 후 처방해 주신 무통 주사 PCA 외에 페인버스터를 문의드렸으나, 올해 초부터 인력난으로 인해 페인버스터 처방을 하고 있지 않다는 병원 측의 답변을 받았다. 영상 속에서 이 과정에 대해 설명하던 중 ‘의료파업 때문’이라는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하였고, 신중하지 못했던 표현으로 인해 혼란을 드려 죄송하다”고 재차 고개를 숙였다.

이어 “향후 유튜브 제작 과정에서 더 신중을 기하고, 저의 발언에 더 책임감을 가지고 유의하도록 하겠다”며 “저의 난임 극복부터 출산 과정 그리고 새 생명의 탄생까지 축복해 주신 많은 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황보라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제왕절개 출산 후기를 전하며 “무통 주사를 맞으면 안 아프다던데 (출산) 다음날 미친듯이 아팠다”면서 “페인버스터라는 게 있는데 아플 때마다 누르는 거라고 하더라. 근데 내겐 그게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황보라는 “알아보니 의료 파업 때문에 담당 의사가 없다고 했다. 그 통증을 다 견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의협은 18일 입장을 내고 “황보라가 분만한 지난 5월엔 의사 파업이 없었기 때문에 의사 파업 때문에 무통주사를 맞지 못했다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보도”라며 유감을 표했다.

의협은 “무통 주사와 페인버스터는 제왕절개 수술 중에 시행하는 시술로, 황 씨가 수술 후에 의사가 없어서 무통 주사를 맞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것도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는 주장”이라며 해당 게시물을 정정 혹은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황보라는 18일 오후 해당 영상을 삭제한 뒤 장문의 글을 통해 이를 정정 및 사과했다. 황보라는 지난 5월 23일 출산했다.

황보라 입장 전문

안녕하세요. 황보라입니다.

지난 16일 업로드된 ‘오덕이 엄마’에서 제왕절개 출산 과정을 묘사하던 중 오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 직접 말씀을 드립니다.

지난 5월 말, 저는 제왕절개 후 무통 주사 PCA를 처방받았습니다. PCA는 ‘자가 통증 조절 장치’가 포함 돼 있으며, 병원 측으로부터 자세한 사용법 안내를 받았으나 수술 후 경황이 없어 인지의 오류가 있었습니다. 매 순간 최선을 다해 애써주셨던 담당 교수님과 병원 관계자분들께 죄송합니다.

제왕절개 후 처방해 주신 무통 주사 PCA 외에 페인버스터를 문의드렸으나, 올해 초부터 인력난으로 인해 페인버스터 처방을 하고 있지 않다는 병원 측의 답변을 받았습니다.

영상 속에서 이 과정에 대해 설명하던 중 ‘의료파업 때문’이라는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하였고, 신중하지 못했던 표현으로 인해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향후 유튜브 제작 과정에서 더 신중을 기하고, 저의 발언에 더 책임감을 가지고 유의하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저의 난임 극복부터 출산 과정, 그리고 새 생명의 탄생까지 축복해 주신 많은 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