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포브스 인정받아도 칩 못구해" ‘脫 엔비디아’ 뭉친 네이버·인텔

김현아 기자I 2024.06.05 17:47:49

인텔 AI서밋 열려
KAIST, 네이버클라우드, 스퀴즈비츠 패널토의
“AI 패권 격돌: 돈, 전력, 그리고 가속기”
AI칩 독점 깨야..가우디 기반 LLM SW스택 개발중

[이데일리 김현아 IT전문기자] “우리가 포브스에서 인정을 받았다고 해도 GPU를 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우리와 같은 규모의 작은 팀은 보통 우선 순위에서 밀리게 되죠. 이런 측면에서, 우리처럼 필요한 자원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팀들은 스스로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5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인텔 AI 서밋’의 패널토론에서 김형준 스퀴즈비츠 대표(CEO)는 “저렴한 가격으로 높은 성능의 인프라가 갖춰져야지 (AI 서비스 기업들이) 계속 흑자를 낼 수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연말에 가우디3까지 출시될 것이고, 이를 스타트업들이 잘 쓰도록 하려면 소프트웨어 스택이 만들어지는게 중요하다. 앞장서 돕고 싶다”고 했다.

스퀴즈비츠는 포브스가 선정한 ‘30세 미만 30인 아시아’에 포함된 기업으로, AI 경량화 기술을 인정받아 카카오벤처스, 삼성넥스트, 포스코기술투자, 포스텍홀딩스 등으로부터 25억원의 규모로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네이버, 인텔과 함께 ‘가우디2’ 기반 소프트웨어 스택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
왼쪽부터 인텔코리아 문종민 상무, 네이버클라우드 이동수 박사(하이퍼스케일 AI이사), 카이스트 김정호 교수, 스퀴즈비츠 김형준 대표다. 사진=김현아 기자


“AI 패권 격돌: 돈, 전력, 그리고 가속기”

엔비디아는 AI 반도체의 제왕으로 꼽힌다. AI 학습과 추론을 위해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AI 반도체 시장의 94%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은 가격, 수급 불안, 과도한 전력 소비 등의 이유로 업계에 부담을 주고 있다.

이동수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이사는 “비용도 있지만, 거대언어모델(LLM)에 필요한 모델 사이즈가 커지면서 전기 소비가 늘고, 고성능 칩을 요구하다 보니 안정성 문제까지 대두되고 있다”면서 “그래서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오랜 노하우를 가진 인텔과의 협력에 기대감이 있다. 클라우드는 AI 반도체 회사들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호 카이스트 교수는 대학들이 엔비디아 칩의 높은 가격 때문에 AI 연구를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버클리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우수한 AI 모델은 대학에서 나오기 어렵다. 가속기(AI 반도체)가 없어서”라며 “(저스틴 호타드 인텔 수석부사장에게) 가우디3 1000대만 달라고 할까?”라고 농담했다. 그는 “아마 내년에 엔비디아의 블랙웰이 나오면 1억씩 할 것 같다”며 “AI 경쟁이 하드웨어 패권으로 넘어가고 있다. 돈이 있어도 가속기를 주지 않으면 어쩌지? 멘붕이 올 수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4’에서 팻 겔싱어 CEO가 새로운 칩을 공개했다. 사진=인텔


AI칩 독점 깨야

이날 패널 토의에서는 AI반도체에서 엔비디아의 독점을 깨는, ‘빠져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김정호 교수는 “인간과 AI가 대화하려면 LLM으로 가야 하지만, 대학에선 트랜스포머 모델의 단점도 본다”며 “트랜스포머 구조를 깨면 가속기와 메모리도 바뀔텐데, 지금은 한 개 기업이 90% 이상 장악한 판을 깨기 위해 노력중이다. 인텔과 네이버가 도와주시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준 대표는 “AI는 첫번째 파운데이션 모델 위에서 서비스를 하는 기업과 저희처럼 LLM을 효율화하려는 인프라 기업이 있다”면서 “스타트업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오픈소스에서 가져와야 할 텐데, 비용 문제가 가장 크다”고 언급했다.

이동수 이사도 “비용이 아무래도 가장 큰 문제다. 네이버클라우드가 B2B, B2C로 확장하려면 투자를 늘려야 하는데, (AI칩 시장이) 독점 구조여서 건강한 에코 시스템이 확장됐으면 한다”고 했다.

팻 겔싱어 인텔 CEO와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이 4월 9일(현지시간) 미국 피닉스에서 열린 ‘인텔 비전 2024’에서 양사 협력사항에 관한 대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네이버·인텔


脫 엔비디아’ 뭉친 네이버·인텔

네이버, 인텔, KAIST는 AI칩의 독점을 해소하고 AI 생태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한국에 ‘AI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이동수 네이버클라우드 이사는 “김정호 교수님과 공동 센터장을 맡았는데, 한국에서 가장 큰 클라우드사로서 가장 큰 책임감도 느낀다”며 “가우디 기반 생태계가 성공하려면 풍부한 소프트웨어 기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호 KAIST 교수는 “우선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스택까지 일관된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면서 “하지만 (웃음) 우리나라는 교수들 사이가 안 좋아 전체 경험을 이해하기 어렵다. 아직 에코시스템을 만든 사례는 없지만, 가우디와 소프트웨어와 AI 모델이 맞으면 새로운 생태계 경험이 이뤄져 많은 창업 기업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형준 스퀴즈비츠 대표는 “나름대로 이 생태계에 기여한다”며 “가우디 기반의 LLM을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스택을 개발하고 있다. 많은 유저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앞장서 역할을 하겠다. 가우디 사용시 처음에는 힘들겠지만, 저희가 먼저 해보고 시행착오 가이드를 드리겠다”고 했다.

이동수 이사는 “비용 최적화와 에코시스템 확장이 중요하다. 한국을 선택해주신 인텔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