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다 BOJ 총재 1주년 성적표 '일단 합격점'

김태현 기자I 2014.03.20 17:11:38
[이데일리 김태현 기자] ‘취임 1주년 맞은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69) 일본은행(BOJ) 총재의 성적표는 일단 합격점’

20일 취임 1년을 맞은 구로다 BOJ총재에 대한 전문가들의 전반적인 평가다.

구로다 총재는 지난해 4월 취임 후 가진 첫 금융정책회의에서 본원통화 규모를 매년 60조~70조엔(약 631조~736조원)씩 늘리는 대규모 금융완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유동성 투입을 통해 침체된 일본 경기를 되살리겠다는 계산이다.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 출처=블룸버그
구로다 총재의 파격적인 ‘돈풀기’의 효과는 곧바로 나왔다.

채권 매입을 통해 시장에 투입한 유동성이 기업 설비투자 증가로 이어졌고 엔저효과로 수출 기업의 실적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게다가 실적 개선이 기업 임금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구로다 총재가 대규모 금융정책을 내놓은 이후 달러 대비 엔화환율은 2013년 한 해동안 약 21.5% 상승(엔화가치 하락)해 105엔대를 기록했다.

엔화약세 영향으로 일본 수출주들도 되살아나 일본 대표 주가지수 닛케이225 지수는 연일 상승랠리를 이어가며 2013년 한 해동안 52.4% 급증했다.

그러나 구로다 정책에 대한 부작용도 거론되고 있다.

엔화약세 여파로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원료 수입가격이 급증했다. 이에 따라 일본 무역수지 적자폭은 크게 늘어나 지난 2월 일본 무역수지 적자액은 8003억엔으로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시장은 일본이 오는 4월 소비세율 인상(5%→8%)을 앞두고 구로다 총재가 추가 금융완화 카드를 꺼내들 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소비세율 인상이 최근 되살아나고 있는 경기 회복에 자칫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구로다 총재는 지난 11일 금융정책회의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필요하다면 추가 양적완화 카드를 꺼낼 수도 있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