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바이든, 우크라에 '美무기로 러 본토 타격' 일부 허용

방성훈 기자I 2024.05.31 16:43:04

美관리 "하르키우 방어 목적에 한해 美무기 사용 승인"
반격 차원에서 러 미사일·폭격기 등 요격 가능해져
"Atams 및 장거리 미사일 사용 금지 입장은 그대로"
전쟁 영향 주목…전문가 "사거리 길어져 즉각 변화"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가 미국으로부터 지원받은 무기를 사용해 러시아 본토를 공격하는 것을 일부 허용키로 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AFP)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들은 30일(현지시간) 일제히 미 정부 관리를 인용해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제2도시인 하르키우 방어 목적으로 미국산 무기를 러시아 본토 공격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하르키우는 우크라이나 수도인 키이우 다음으로 큰 도시로 최근 러시아의 집중 공세에 시달리고 있다.

즉 앞으로는 우크라이나가 미국이 지원해준 무기로 하르키우를 겨냥한 러시아의 미사일을 요격하거나, 국경 인근의 러시아 폭격기까지 공격하는 등 반격을 가할 수 있다는 의미다. 미 정부 관리는 다만 “Atams 사용이나 장거리 미사일을 이용한 러시아 내부 영토 공격 금지에 대한 우리의 (기존) 정책은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FT는 “러시아를 공격하기 위한 용도로 자국산 무기를 사용해선 안된다는 기존 미 정부 입장의 중요한 변화”라며 “미국에 무기 사용을 허용해달라는 우크라이나 및 유럽 동맹국들의 압박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우크리아나는 자국의 민간 목표물을 공격하는 러시아군의 군사 목표물을 공격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주장하며 최근 몇 주 동안 미국에 공격 금지를 해제해달라고 강력 촉구했다. 영국과 프랑스 등 유럽 주요 동맹국들도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며 미 정부를 압박해 왔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결정이 우크라이나에 불리하게 형성된 현재의 전황을 뒤집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로브 리 유라시아프로그램 외교정책연구소 연구원은 “가장 중요하고 즉각적인 효과는 우크라이나가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 유도형다연장로켓발사시스템(GMLRS) 탄약을 사용해 더 깊은 곳에서(멀리서) 러시아 포병, 전차, 대공방어 및 지휘소 등의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우크라이나는 그동안 러시아군 표적과 교전하기 위해 포병을 전진 배치해야 했고, 이 때문에 더 큰 위험에 노출되곤 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