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원희룡 "공급 부족 해소 여부 따라 2~3년 뒤 집값 큰 차이"

김아름 기자I 2023.09.06 14:25:34

"LH토지 제공·발주·사업진척상황 직접 챙겨 인허가 속도"
민간 공급 촉진 위해 PF 등 건설 금융과 보증 지원 확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건설산업 정상화 TF 킥오프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정부가 공공의 주택 발주 물량을 앞당겨 공급 위축을 타개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6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건설산업 정상화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기자들과 만나 “연말까지 공급 부족을 해소하지 못하느냐, 아니면 일시적으로 공급 최저점을 찍고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느냐는 2∼3년 뒤 (집 값에서)아주 큰 차이를 불러올 것”이라며 “확대 흐름으로 갈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을 다해 공급 초기 비상 단계를 반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토지 제공, 발주, 사업 진척 상황을 직접 챙겨 인허가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원 장관은 “토지를 공급하고 인허가하는 부분, 공공에서 발주 물량을 당겨서 하는 부분 등 할 수 있는 것을 총동원해야 반전시킬 수 있다”라며 “올 12월 정도 되면 공공 부문 인허가는 목표치를 맞추거나 넘길 수 있게 하겠다”고 전했다.

민간의 주택 공급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건설 금융과 보증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원 장관은 “금융당국이 현재 담보 제공, 추가 출자 등을 통해 대출금을 막을 수 있는 현금을 확보하라는 압박을 가하고 있다”며 “국토부도 좋은 사업장 일부를 매각하거나 공동 사업체를 끌어들이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동주택 전매를 허용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것에 대해서는 사실이라고 했지만 전반적인 허용은 아니라는 뜻을 전했다. 앞서 사내 계열사를 동원한 무더기 ‘벌떼입찰’과 계열사 간 택지 전매로 공급 질서를 교란한다는 지적이 나왔고 이에 지난 2020년 택지개발촉진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건설사가 추첨을 통해 분양받은 공공택지 내 공동주택용지는 부도 등의 특별한 사유를 제외하고 계약 2년 경과(또는 잔금 완납) 후 가능했던 택지 전매를 금지했다.

그는 “토지만 확보하면 몇백억의 수익을 확보할 수 있어 벌떼 입찰, 내부 담합 형태로 공공택지를 받은 건설사가 몇 년 새 수조원의 외형 성장을 이루는 업계 왜곡이 심각했기에 전반적으로 허용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전문가 TF 논의결과와 전국 무량판구조 아파트 전수 점검 결과 등을 토대로 ‘건설산업 혁신방안’을 10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