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금감원, 올해 재무제표 중점심사 분야 사전예고

김보겸 기자I 2024.06.13 12:00:00

수익인식 회계처리
비시장성 자산평가
특수관계자거래 회계처리
가상자산 회계처리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금융감독원은 상장회사의 2024년 재무제표에 대한 심사 시 중점 점검할 4가지 회계이슈와 대상 업종 및 유의사항 등을 13일 밝혔다. 회사 및 감사인이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 결산 및 회계감사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2024년 재무제표에 대한 심사시 중점 점검할 회계이슈는 △수익인식 회계처리 △비시장성 자산평가 △특수관계자거래 회계처리 및 △가상자산 회계처리 등 네 가지다.

먼저 수익인식 회계처리 대상업종은 제조업과 도·소매업 및 정보서비스업이다. 동종업종 대비 수익 변동성 등을 감안해 대상 회사를 선정했다. 고객에게 약속한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고 그 대가로 받을 권리가 예상되는 금액으로 수익을 인식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들은 수익기준에 따라 고객과의 계약 조건과 관련 사실 및 상황을 모두 고려해 수익을 인식하고 주석 요구사항을 충실하게 기재해야 한다.

비시장성 자산평가도 중점 점검한다. 경기회복이 지연되면서 경영환경 악화로 비상장주식, 영업권 등 비시장성 자산의 평가 및 손상여부 검토를 부실하게 수행하는 등 회계위반 가능성이 늘면서다. 전체 업종이 ㄷ상이다.

특수관계자거래 회계처리는 특수관계자와 거래를 통해 손익을 왜곡시킨 뒤 이를 은폐·축소하기 위해 관련 거래내역을 주석으로 상세히 기재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중점 점검 대상이 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논의중인 기업 밸류업 측면에서도 특수관계자 거래 내역의 충분한 공시는 기업가치(주주가치)를 판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며 “특수관계자 수익 인식 및 주석 공시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가상자산 회계처리도 점검한다. 블록체인 기술 산업의 발전으로 그 매개체인 가상자산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기업회계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은 가상자산 발행?보유기업의 명확하고 상세한 정보 공개를 위해 가상자산 회계감독지침 및 주석공시 모범사례를 발표했다.

가상자산 보유기업은 가상자산의 취득목적 및 금융상품 해당 여부에 따라 재고자산, 무형자산 또는 금융상품 등으로 적정하게 분류하고 최초 및 후속 측정에 유의해야 한다. 가상자산 사업자(거래소)는 고객이 위탁한 가상자산에 대한 통제권이 거래소에 있는 경우 거래소의 자산·부채로 인식해야 한다.

금감원 측은 “중점심사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됨에 따라 상장회사 심사·감리주기 단축을 위해 중점심사 대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회사 및 감사인은 회계이슈별 유의사항 등을 참고해 재무제표 작성 및 회계감사 업무수행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