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러시아-중국, '시베리아의 힘2' 가스관 협상 좌초 위기

방성훈 기자I 2024.06.03 10:20:37

유럽 대체 기대 모았지만 中 가격인하 등 무리한 요구
푸틴 中 국빈방문 당시 협상 진전 요구했으나 결렬
"우크라戰 이후 러 경제 中의존 심화 보여주는 사례"
"러가 더 절박해 中 협상우위…결국 조건 받아들여야"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러시아와 중국의 ‘시베리아의 힘-2’ 가스관 관련 거래가 중단됐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사진=AFP)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에 따르면 러시아와 중국이 진행 중인 시베리아의 힘-2 가스관 건설 관련 협상은 현재 교착 상태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이 극히 소량의 가스 구매 의사를 밝힌 데다, 공급 가격도 막대한 보조금 지원을 받는 러시아 국내 가격과 동일한 수준으로 요구하고 있어서다. 소식통은 “가격과 공급량과 관련해 중국의 비합리적인 요구로 (사실상) 거래가 좌초됐다”고 전했다. 중국이 러시아의 절박한 상황을 노려 가격 인하 흥정을 시도하면서 계약이 무산됐다는 얘기다.

중국은 2019년 완공된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을 통해 러시아로부터 시베리아산 가스를 공급받고 있으며, 양국은 추가로 시베리아의 힘-2 가스관 건설을 추진 중이다. 시베리아의 힘-2는 완공되면 연간 500억입방미터(bcm)의 가스를 수송할 수 있다. 이는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노르트스트림 가스관의 수송량(550억bcm)과 맞먹는 규모여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수출길이 끊긴 러시아 국영 가스기업 가스프롬의 숨통을 틔워줄 것으로 기대됐다.

가스프롬은 지난해 6290억루블(약 9조 6000억원)의 손실을 입었다. 25년 만의 최대 규모 손실이다. 우크라이나 침공 전 10년 동안 연평균 2300억bcm에 달했던 유럽으로의 가스 판매가 220억bcm으로 쪼그라든 탓이다. 올해 말 우크라이나와의 환적 계약이 만료되면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

이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달 16~17일 중국을 국빈 방문했을 때 러시아 측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주요 의제로 시베리아의 힘-2 가스관 관련 협상 진전을 강력 요청했다. 당시 알렉산더 노박 러시아 부총리가 인테르팍스통신 인터뷰에서 “가까운 미래에 시베리아의 힘-2 가스관에 대한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두 명의 소식통은 “가스프롬의 알렉세이 밀러 최고경영자(CEO)가 푸틴 대통령과 동행하지 않았던 것은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았다. 그러면서 “중국 은행과의 협력 제안도 러시아가 (처음에) 요청한 것보다 훨씬 작은 규모로 남아 있다”며 “합의가 요원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크렘린궁과 가스프롬 측은 FT의 논평 요청을 거부했다. FT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 경제가 중국에 더 많이 의존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사례라고 짚었다. 독일 카네기 러시아 유라시아센터의 알렉산더 가부예프 소장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중국이 양국 관계에 있어 우위를 점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미국 컬럼비아대 글로벌에너지정책센터(CGEP)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중국의 수입 가스 수요가 작년 170bcm 미만에서 2030년 약 250bcm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며, 기존 계약으로 대부분 충족된다고 분석했다.

가부예프 소장은 “중국은 대만이나 남중국해 주변에서 해상 충돌이 발생할 경우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전한 공급원으로, 즉 전략적으로 러시아의 가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가스 수출을 위한 대체 육로 경로가 없다는 것은 아마도 가스프롬이 (결국) 중국의 조건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스전은 이미 개발됐고, 러시아는 이를 판매할 다른 옵션이 없다. 중국은 시간이 자기 편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