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유한양행·GI 출신’ 남수연 사장, 차바이오 신약개발 수장으로[화제의 바이오人]

김새미 기자I 2024.06.02 15:59:20

의사 출신 신약개발 전략 전문가…유한양행 중앙연구소장 역임
‘렉라자’ 개발 주도, GI에서도 兆 단위 기술수출 성과 냈던 인물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이번주 바이오업계의 주목을 끌었던 인물은 차바이오그룹으로 이직한 남수연 전 지아이이노베이션 사장이다. 신약개발 전문가로 손꼽히는 남 사장이 차바이오그룹으로 옮기면서 조직에 어떤 변화를 이끌지가 관전 포인트이다.

남수연 차바이오텍 R&D 총괄 사장 (사진=차바이오그룹)
남 전 사장은 2018년 12월부터 지아이이노베이션(358570)의 공동 대표를 맡다가 2020년 4월에는 각자 대표로, 2021년 6월부터 해외사업 총괄 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지난 3월 31일자로 지아이이노베이션을 사임한 뒤 이번에 차바이오텍(085660) 연구개발(R&D) 총괄사장 겸 차바이오그룹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영입됐다.

남 사장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내분비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의사 출신 신약개발 전략 전문가이다. 이후 남 사장은 한국로슈, 미국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 유한양행(000100)에서 신약 개발을 담당했다. 남 사장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유한양행 중앙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의 개발을 주도한 인물로 유명하다.

남 사장은 여러 차례 굵직한 기술이전 성과를 내기도 했다. 유한양행은 2018년 11월 글로벌 제약사 얀센에 렉라자를 최대 1조4000억원 규모로 기술이전했다. 지아이이노베이션에서는 면역항암제 ‘GI-101’, 알레르기 치료제 ‘GI-301’ 등 조 단위 기술수출 성과를 냈다.

남 사장은 글로벌 빅파마와 파트너십을 맺고 기술이전을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수요(needs)와 전략을 잘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해온 인물이다. 임상시험 디자인 설계부터 기술이전 전략과 잘 부합되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신약개발 역시 가치 창출이 가능한 사업화 전략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차바이오텍 측은 남수연 사장이 미래성장동력인 신약 후보물질을 확보하고, 개발 중인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사업화를 가속화하는 등 차바이오텍의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남 사장은 성과를 중시하는 분”이라며 “차바이오그룹에 어떤 변화를 불러일으킬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남수연 차바이오텍 R&D 총괄 사장 약력

△1998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1995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석사

△2005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학 박사

△2000년 3월~2001년 6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내과 조교수

△2001년 7월~2004년 7월 한국 로슈(Roche) 컨트리 메디컬 디렉터

△2004년 7월~2010년 4월 BMS 글로벌 메디컬 디렉터

△2010년 4월~2016년 12월 유한양행 연구소장

△2017년 1월~현재 인츠바이오(INTS Bio) 대표

△2017년 4월~2018년 10월 네오이뮨텍 부사장

△2017년 4월~2024년 3월 지아이이노베이션 대표이사, 최고사업개발책임자(CBDO), 최고의학책임자(CMO)

△2018년 3월~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교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