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올해 6월 폭염일수 역대급…'최악 더위' 2018년보다 많다

이유림 기자I 2024.06.23 15:22:06

6월 1~20일 폭염일수 2.4일…평년 4배
'최악 더위' 2018년 6월 폭염일수보다 多
이동성고기압 영향…일사량 많고 남서풍

[이데일리 이유림 기자] 올해 6월 폭염일수가 최악의 더위로 기록된 2018년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에 따르면 이달 1∼20일 폭염일수는 2.4일로 집계됐다. 이미 평년(1991∼2020년 평균) 6월 한 달 폭염일수인 0.6일의 4배를 기록했다. 폭염일수는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을 기록한 것이다.

(그래픽=김정훈 기자)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돼 각종 기상기록 기준이 되는 1973년 이후 여름철(6∼8월) 폭염일수가 최다였던 2018년의 6월 폭염일수는 1.5일이었고, 짧은 장마 후 본격적인 더위가 찾아온 7월 15.4일, 8월 14.1일로 크게 늘었다.

폭염일수가 두 번째로 많았던 1994년은 6월 0.9일, 7월 17.7일, 8월 9.8일을 기록했고, 9월에도 폭염일수가 1.2일로 늦더위가 이어졌다. 올해 때 이른 무더위가 찾아온 이유는 이동성고기압 때문에 날이 맑아 일사량이 많은 데다가 남서풍까지 불어 들었기 때문이다. 초여름 폭염은 지난 19일 제주에서 장마가 시작되고 22일 남부지방도 장마 기간에 들어가면서 잠시 주춤할 전망이다.

기상청은 다음 주 아침 기온은 18~24도, 낮 기온은 25~31도로 평년(최저기온 18∼21도, 최고기온 25∼29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장마가 끝나고 나면 본격적인 ‘찜통더위’가 찾아올 것으로 보인다.

서울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지난 1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환승센터에서 열화상카메라로 촬영한 횡단보도가 붉게 보이고 있다.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온도가 높을수록 붉은색, 낮을수록 푸른색을 나타낸다.(사진=뉴시스)
통상 6월부터 더워지다가 장마 기간 잠시 주춤하고 7~8월에 무더위가 찾아오는 우리나라 여름 특성을 고려할 때 이번 초여름 폭염은 ‘시작’에 불과하다는 예측이다.

6월 더위가 이동성 고기압으로 인한 ‘건조한 더위’였던 반면, 7~8월은 습하고 더운 공기를 품은 북태평양고기압으로 인해 마치 습식 사우나에 있는 것과 같은 더위가 나타날 수 있다.

이명인 울산과학기술원(UNIST) 폭염연구센터장은 지난 7일 기상청이 출입기자를 대상으로 개최한 기상강좌에서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등을 통해 예측한 결과 올해 여름철 폭염일수가 평년(10.2일)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이 센터장은 “7월은 동아시아 강수량이 늘어나며 폭염일수는 적으나 비가 내리는 날 사이에 ‘습윤한 폭염’과 열대야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8월은 겨울철 엘니뇨가 여름철 이후 라니냐로 전환될 때여서 기온이 오르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며 “7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폭염 극성기엔 지속적이고 강한 폭염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