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완화된 매크로 환경에 韓 증시 상승출발…日은행 통화정책 관건”

이용성 기자I 2024.06.14 08:06:47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매크로 환경이 완화하면서 국내 증시가 상승 출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장중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사진=키움증권)
14일 김지현 키움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간밤 소비자물가지수(CPI) 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고용지표가 둔화하며 시장금리 4.2%대 도달했다. 미국의 5월 PPI는 전년 동기 대비 2.2%, 늘고, 근원 PPI는 2.3%(예상 2.4%)로 예상치 모두 하회했다. 헤드라인의 경우 전월 대비 감소 전환했다.

CPI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긍정적으로 소화한 가운데 다음 주부터 블랙아웃 기간 종료로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이어질 전망이다. 5월 CPI 결과를 점도표에 대다수가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발언할 가능성이 크고, 단기 급등 부담이 있는 증시의 차익 실현 빌미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국내 증시는 완화적인 매크로 환경에 힘입어 상승출발한 이후 장중 전해질 일본은행(BOJ)의 통화정책회의 결과 및 원·달러 환율 변동성에 영향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BOJ의 경우 물가와 임금상승이라는 금리 인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번 회의에서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엔저 해소 및 미·일 금리 차 축소를 위해 매월 6조엔(약 52조 9000억원) 규모의 장기 국채 매입을 축소할지가 관건이라고 김 연구원은 전했다.

개별 업종별로는 테슬라가 연례 주주총회에서 일론 머스크 CEO에게 경영 성과에 따라 3억 300만주(560 억 달러 규모)의 스톡옵션을 지급하기로 한 2018년 보상안 재승인 안건과 테슬라 본사의 텍사스 이전 안건이 통과되면서 국내 2차전지 업종 투자심리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브로드컴은 연간매출 가이던스를 기존 500억 달러에서 510억 달러로 상향하고, 10대 1 주식분할을 발표하면서 국내 AI 관련주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