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시, ‘청년취업사관학교’ 10곳 조성…연 2000명 기술인력 양성

김기덕 기자I 2021.09.26 11:15:00

4차산업 현장형 청년 인재양성 채용 목적
내년 강남에 개소…2030년까지 10개소 확대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서울시가 20·30대 청년구직자들에게 AI(인공지능), 핀테크 등 4차산업 디지털 신기술 분야의 실무 역량교육을 무료로 제공하고, 취·창업까지 연계하는 ‘청년취업사관학교’(이하 캠퍼스)를 조성한다고 26일 밝혔다. 오는 2030년까지는 서울 전역에 10개의 캠퍼스의 문을 열 계획이다.

청년취업사관학교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대표적인 청년 정책이자, 향후 10년 서울시정 마스터플랜인 ‘서울비전2030’에서 제시한 일자리 사다리 복원 정책이다. 시는 청년취업사관학교를 통해 연 2000명의 4차산업 기술인력을 양성한다는 목표다.

최근 청년고용 부진이 고착화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기업들이 디지털 신기술 분야 전문인력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미스매칭이 심각한 상황이다. 신기술 분야 민간교육기관은 교육비가 고액(연 700만~2000만원)으로, 이 분야에 진출하려는 청년 구직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이 큰 상황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시는 이공계 졸업생과 인문계 졸업생을 위한 두 가지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필기·면접 등 공정한 과정을 거쳐 선발된 청년구직자에게 성장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캠퍼스 수료생 모두가 취·창업에 성공시킨다는 목표로 시가 보유한 2000개 이상의 기업풀(pool)을 총동원해 지원할 방침이다.

서울시 제공.
청년취업사관학교의 추진 방향은 △기술 트렌드 변화를 반영하고 공간·커리큘럼 가변성을 갖춘 ‘유연성’ △기업수요와 청년의 눈높이를 반영한 ‘수요기반형’ △현직자 주도의 프로젝트 중심 교육의 ‘현장성’ 등 세 가지가 핵심이다.

가장 먼저 영등포캠퍼스가 운영에 들어갔다. 기존 서남권 기술특화캠퍼스의 기능을 대폭 확대·전환한 것. 올 하반기 총 337명이 15개 교육과정에 참여한다. 올 12월에는 금천캠퍼스가 문을 열어 인문계 전공자 취업난 해소를 위한 ‘디지털 전환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내년 7월에는 강남캠퍼스(SETEC)가 개관하는 등 차례로 캠퍼스를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황보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4차산업 인재양성소인 청년취업사관학교는 청년 일자리의 양적·질적 미스매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이라며 “오는 2030년까지 서울 전역에 10개소를 조성하고, 서울시의 청년 일자리 사업과 창업시설 등 가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취·창업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