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연구도 전문가 관리 필요, 연구행정 적극 도입해야"

강민구 기자I 2024.06.13 06:53:00

[인터뷰]최문기 KAIST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장
지난달 출범 연구행정협회 초대 회장 맡아
연구, 행정 직군 아닌 새로운 직군 마련 필요성 강조
"R&D 투자 효율성 높이고, 글로벌 기술사업화 나서야"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이번이 기회입니다. 우리나라도 연구행정 도입을 위한 논의를 시작해야 합니다.”

최문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장(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지난 11일 KAIST 문지캠퍼스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같이 연구행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센터장은 지난달 30일 발기인대회를 가진 한국연구행정협회 초대 회장을 맡았다.

최문기 KAIST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장(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연구행정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초대 장관을 지낸뒤 KAIST에서 글로벌기술사업화 관련 업무에 매진하던 그가 개념도 생소한 연구행정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무엇일까. 최 센터장은 패스트팔로어(추격자)에서 퍼스트무버(선도자)로 바뀐 우리나라의 위상 변화 속에서 지난 노무현 정부 때부터 꾸준히 늘려온 연구개발(R&D) 예산을 효율화하는 데 역할을 하고 싶었다고 했다.

최 센터장은 “과거 노무현 정부 때부터 R&D 예산을 증액하면서 투자 효율화도 신경썼어야 했는데 특별한 과학계 이벤트가 없었고, 질적으로 변화할 시점을 놓쳤던 것 같다”면서도 “이제는 우리의 기술력을 가지고 전 세계 시장에 진입해야 하기 때문에 연구에도 관리(매니지먼트) 개념이 들어가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그가 강조한 연구행정은 연구와 행정과 다른 새로운 직군을 뜻한다. 연구에 대한 이해도와 행정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연구개발 전주기 과정에서 연구자를 지원해 연구자는 연구에 몰입하고, 연구행정 직군 종사자는 기술이 시장에 진입하도록 힘쓰는 역할을 해 R&D를 효율화하는 개념이다.

그동안 연구자는 정부연구과제 등을 수주하면서 연구 기획부터 사업관리까지 모두 해야 했다. 이로 인해 연구에 몰입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지는 것은 물론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져 행정직과의 갈등 원인이 되기도 했다. 즉 연구자가 모든 것을 다하는 ‘슈퍼맨’ 역할을 해왔던 셈이다.

하지만 시대가 달라지면서 체계에 변화를 줄 필요성이 커졌다. 과거에는 남의 방식을 모방해왔다면 이제는 R&D가 제품으로 만들어져 전 세계 시장에 진입해야 한다. 연구뿐만 아니라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술 사업화 관점의 접근 필요성도 요구된다. 미국, 일본 등 과학강국에서는 연구와 행정을 분리해 연구자를 지원하는 체계를 이미 갖췄다. 이를 통해 연구몰입 환경 조성부터 연구역량 강화, 이공계 인력 경력 다양화 등에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대학,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관계자 등이 참여해 논의를 진행하면서 협회를 발족하는 등 공감대가 커지는 분위기다.

최 센터장은 이러한 시도에 맞춰 정부 등에서도 연구행정직군 신설 등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직 연구행정에 대한 개념 생소한 만큼 실태조사, 수요 분석, 위상정립 등에 협회 차원의 역할도 필요하다.

그는 “과거 R&D만 하면 됐던 것과 달리 기술을 개발했을 때 시장에서 누구와 경쟁하고, 어떻게 시장을 잡을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져 지금이라도 연구행정 직종을 새로 만들어야 한다”면서 “정부는 관련 법제도 체계를 마련해주고, 민간과 과학계에서 연구행정 종사자들을 교육하고, 자격을 어떻게 부여할지 의견도 수렴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최 센터장은 앞으로 정부부처, 과학계 등과 소통을 강화하며 연구행정의 필요성을 알리고 연구행정이 정착되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과는 대량생산 경쟁에서 이길 수 없고, 미국은 기술력이 더 우수한데 우리나라가 살길은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투자 효율화와 글로벌 기술 사업화뿐”이라며 “정부 재정에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R&D 체계의 효율성을 높여 성과를 내고, 성과가 세계시장에 확산하도록 연구행정 체계 논의와 도입에 역할을 하겠다”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