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그냥 쉴래요" 청년들이 구직활동 안 하는 이유

김소연 기자I 2025.04.22 06:00:00

한경협 미취업 청년 대상 일자리 인식 설문조사
양질의 일자리 부족·경력위주 채용에 어려움
최소 희망 세전 연봉은 3468만원 수준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구직활동 중인 미취업 청년 2명 중 1명(50.4%)은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경력 위주 채용’을 가장 큰 구직의 어려움으로 꼽았다. 미취업 청년들이 희망하는 최소한의 세전 연봉 수준은 평균 3468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자리 인식 설문조사(500명 응답)를 진행한 결과를 이같이 밝혔다.

자료=한경협
미취업 청년들은 ‘일자리 부족’은 물론, ‘경력 위주 채용’ 및 ‘과도한 자격요건’ 등의 채용 구조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구직활동 중인 청년과 그렇지 않은 청년으로 구분해 조사한 결과, 구직활동 중인 미취업 청년들은 구직활동 시 어려움을 묻는 문항에 △양질의 일자리 부족(30.0%) △경력직 위주의 채용 구조(20.4%) △과도한 자격요건 및 스펙 요구(19.6%) △지속적 실패로 인한 자신감 저하 및 구직의욕 감소(14.6%) △일자리의 수도권 집중(6.7%) 순으로 답했다.

현재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미취업 청년들에게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를 물어보자 △자격증 또는 취업을 위한 시험 준비(19.6%) △적합한 일자리 부족(17.3%) △일정 기간 휴식(16.5%) △과도한 스펙·경력 요구(13.8%) △계속된 취업 실패(9.2%)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시험 준비 및 휴식 등의 자발적 요인을 제외하면 일자리 부족과 과도한 자격요건이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가장 큰 비자발적 요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미취업 청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양질의 일자리’의 조건으로는 ‘급여 수준(31.8%)’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고용 안정성(17.9%) △일과 삶의 균형(17.4%) △직장 내 조직문화(7.3%) △개인 적성과의 일치(7.2%) 등의 순이었다. ‘양질의 일자리’가 한국 사회에 충분히 존재하는지에 대해 묻는 질문에서는 ‘부족하다’라는 응답이 76.4%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미취업 청년들이 생활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불확실한 진로에 대한 고민’이라는 응답이 24.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우울감·무기력감 등 심리적 불안정(21.2%) △생활비·주거비 등 경제적 부담(17.2%) △계속된 실패 경험 등으로 인한 자존감 저하(16.6%) △사회적 고립감 및 단절(6.8%) 등의 순이었다.

자료=한경협
향후 취업(또는 창업) 예상 시기를 묻는 문항에서는 ‘3~6개월 이내’라고 응답한 비율이 20.4%로 가장 높았다. 미취업 청년들이 일할 의향이 있는 최소한의 세전 연봉 수준은 평균 3468만원으로 집계됐다. 최종학력 별로는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경우 평균 3227만원, ‘대학교 졸업 이상’의 경우 3622만원으로 조사됐다.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확대(32.7%)’가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구직기간 비용지원 등 경제적 지원 강화(18.2%) △체험형 인턴 등 실무 경험 기회 확대(16.0%) △맞춤형 교육·훈련정보와 기회 제공(11.3%) △취업·창업컨설팅 등 진로설계 지원(7.7%) 등의 순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의 신규채용이 줄어들면서 청년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다”며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 신산업 육성을 지원하고, 규제완화를 통한 기업활력 제고와 고용여력 확충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