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韓 전동화 비전, 시장 못 따라와…전기차 보급 촉진 필요"

이다원 기자I 2025.04.07 16:54:06

서울모빌리티쇼 亞포럼서 조철 위원 발표
"전기·수소차 확산 속도, 예상 대비 늦어져"
"현대차, 동력원 전략 다변화로 대응"
"하이브리드 쏠림…자율주행·UAM 단계적 진입"

[고양=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은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대한 정책, 사업적 목표를 세우고 꾸준히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 환경이 급변하며 미래 비전이 실현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와 산업계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아시아모빌리티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이다원 기자)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아시아모빌리티포럼에서 ‘한국의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이같이 말했다.

현재 한국 자동차 산업은 이동의 개념을 우선한 ‘모빌리티’ 산업으로 확장됐다. 자동차뿐만 아니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로 넓어지고 있다.

탄소 중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친환경차 확산에도 집중하는 추세다. 운행 중 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전기차와 수소연료전기차뿐만 아니라 탄소 발생량이 적은 하이브리드차까지 전동화로 포괄한 상황이다.

정부는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지난 2019년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순수전기차와 수소연료전지차를 전체 자동차의 33.3%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UAM과 로봇 등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전기차 판매 성장이 둔화하는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발생하고 있다. 조 연구위원은 “‘탄소 배출량을 몇 년까지 얼마나 줄이겠다’는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그러려면 연도별로 일정 수준 판매 성장이 나타나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며 “전기차와 수소차는 기대보다 느리게 확산되고 있고 오히려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 보조금이 적은 상황도 아니지만 소비자가 보조금을 받고도 구매하지 않는 상황”이라며 “이런 정책 목표를 조정할 것인지 아니면 그대로 밀고 나갈 것인지 정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정책 목표를 추진하려면 전기차 소비를 촉진할 대책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현대차 역시 전략을 수정했다. 조 연구위원은 “지난해 현대차는 ‘현대 웨이’를 발표하며 향후 10년간 120조원을 투자해 전기차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등 다양한 동력원 개발 전략으로 선회했다”며 “이를 통해 공격적으로 (전동화) 차량을 보급하겠다는 목표”라고 설명했다.

IT와 인공지능(AI)을 차량에 접목하는 사례가 생기면서 자율주행과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SDV) 등 미래차 기술에 대한 주목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특히 자율주행에 집중해 오는 2027년까지 완전자율주행을 구현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하지만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황이다. 조 연구위원은 “자율주행과 관련한 각종 인프라나 제도를 지난해 완비하고 차량은 (완성차 제조사가) 만드는 방식의 계획을 세웠다”고 했다. 하지만 “자율주행 역시 안전 등 문제로 현대차가 레벨 3 수준의 기술을 내놓겠다고 했지만 쉽게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UAM과 로보틱스 역시 상용화까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조 연구위원은 “현대차도 시장환경 변화에 맞춰서 비전이나 전략을 바꿔나가고 있는 실정”이라며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레벨 3 수준의 시스템을 내놓고 있으므로 미래 모빌리티를 계속 모색하며 정부와 학계가 꾸준히 지원해나가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불확실한 통상 환경까지 겹치며 시장 환경은 더욱 녹록지 않은 상태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은 “최근 미국이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등 자동차 산업을 둘러싼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졌다”며 “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세안(ASEAN) 지역에과 한국의 민간 협력이 미래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필수적”이라고 했다.

아시아모빌리티포럼은 오는 13일까지 열리는 ‘2025 서울 모빌리티쇼’와 연계해 올해 처음 열린 행사다.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 지역 정부와 민간 전문가가 불확실한 통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미래 모빌리티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