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초봉 6500만원? 거절”…은행 ‘고스펙’ 합격자 눈 돌린 곳은?

홍수현 기자I 2025.04.08 10:34:58

한 시중은행 채용률 절반 수준에 못 미쳐
IT등 눈돌리는 고스펙자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초봉이 6500만원에 달하는 은행권에 합격하고도 입사를 포기하는 지원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중은행 ATM기 (사진=뉴시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 시중은행의 지난해 하반기 공채에 절반 가량이 최종 입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일반직 공채 130여명을 선발하기로 했던 이 은행의 경우 실제 연수원까지 거쳐 올해 배치된 인원이 계획한 인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사상 최대규모의 실적에도 불구하고 채용을 줄이고 있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 은행권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당장 채용 목표치를 세워도 입사자가 적어 목표치 조차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는 말도 나온다.

시중은행은 직장인 가운데서 초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은행 내부에서도 상황 파악에 나섰다. 4대 시중은행의 초봉은 각종 수당을 더하면 6000만~6500만원 내외 수준이다.

취준생들 사이에서도 가장 인기가 높은 은행권에 합격하고도 대거 입사하지 않는 사례는 취업시장에서도 드문 일이다. 그만큼 은행들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은행에 입사하지 않은 합격자들은 대부분 대기업이나 정보기술(IT) 기업을 선택한 것으로 파악된다. 고스펙 취준생들이 은행 대신 갈 수 있는 대안이 많아졌다는 설명이다.

취업정보 사이트에서 시중은행들에 대한 정보를 따져보면 급여, 복지, 워라밸 분야에선 높은 점수가 많지만 조직문화, 비전이나 전망 등에 대해선 부정적인 의견이 훨씬 더 많은 편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매체에 “보통 은행권에 고스펙을 갖춘 지원자들이 많고, 이들이 다른 곳에도 동시에 합격하면서 최종 입사자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20대가 가장 많이 취업한 직종은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로 57만4000명이다. 2위는 제조업으로 취업자는 54만5000명이다.

20대 내에서도 취업 연령이 20대 초반보다 20대 후반으로 극명히 쏠렸는데 이는 부모세대의 경제적 지원을 오랜 기간 받을 수 있는 사회 구조적 변화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