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휴대전화 교체 '위증' 논란 최상목…"美국채, 금융기관서 추천한 것" (종합)

권효중 기자I 2025.04.16 16:54:24

최상목 부총리, 16일 국회 법사위 청문회 출석
"휴대전화 바꾼 사실 없다" 했지만
계엄 나흘 후 교체…"위증 의도 없었다" 해명
"미국 국채, 금융기관서 추천…꼼꼼히 챙기지 못했다"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김은비 기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12·3 비상 계엄령 나흘 뒤인 12월 7일 휴대전화를 교체한 사실이 드러났다. 최 부총리는 “정확한 날짜를 기억하지 못했던 것이며, 위증의 의도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최 부총리는 최근 논란이 됐던 2억원 규모의 미국 국채 매입에 대해서도 “금융기관의 추천에 따라 매입했고, 포트폴리오를 자세히 살피지 못했다”며 “개인적인 문제로 오해를 불러일으키게 돼 안타깝다. 꼼꼼히 챙기지 못했다”고 말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기획재정부 장관 최상목 탄핵소추사건 조사’ 청문회에서 요구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 부총리는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기획재정부 장관 최상목 탄핵소추 사건’ 청문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최 부총리가 휴대전화를 바꾼 사실이 없다고 했다가, 정청래 법사위원장의 지적에 이를 번복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비상계엄 이후 휴대전화를 교체한 사실이 있느냐”고 묻자 최 부총리는 “없다”고 답했다. 이후 정 위원장은 “장경태 민주당 의원실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7일 최 부총리가 휴대전화 기기를 교체한 사실이 있다”고 재차 물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지난해 6월 사용하던 ‘갤럭시 Z 폴드5’를 ‘갤럭시S24 울트라’로 교체했고, 계엄 직후인 12월 7일 다시 ‘갤럭시 Z 폴드6’로 바꿨다. 정 위원장은 “국회법상 위증 사실을 인정하고, 위증한 사실을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최 부총리는 “정확한 날짜를 기억하지 못했고, 당시 사용하던 기기가 고장이 나 교체를 하게 된 것”이라며 “고장 난 기기도 여전히 갖고 있는 상태”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위증할 의도가 없었다. 오해를 불러일으켜서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은 “최 부총리는 고장 난 휴대전화를 갖고 있어 증거 인멸 의도가 없다”며 “(정 위원장이)억지로 사과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휴대전화 관련 논란은 이후에도 이어져 의원들 사이에서 “어떻게 6개월 만에 최신 휴대전화가 고장날 수 있느냐” 등 공방이 오고가기도 했다.

아울러 최 부총리의 미국 국채 매입에 대한 질의도 이뤄졌다. 최 부총리는 “제가 민간인 신분이었던 2018년부터 갖고 있던 외화예금을 외화 국채로 바꾸는 내용의 금융기관 추천이 있었다”며 “그 추천대로 샀고, 포트폴리오를 꼼꼼히 챙기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적인 문제로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이 안타깝고, 공직자로서 무게를 느낀다”고도 했다.

앞서 지난달 27일 공개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 변동 사항’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지난해 1억 9712만원 가량의 30년 만기 미국 채권을 보유한 사실을 신고했다. 이에 원화 환율을 방어하는 경제 수장으로서 원화 가치가 하락할수록 이득을 얻는 상품을 사들인 것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최 부총리에 대한 탄핵 소추 쟁점이었던 권한대행 시절의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미임명,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국회의 보조금을 끊으라는 명령이 담긴 문건을 받은 후의 대응 등에 대한 질의도 이뤄졌다.

최 부총리는 계엄에 반대했고, 문건을 그 자리에서 확인하지 않았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최 부총리는 “그 자리에서 문건을 확인하지 않았고, 바로 F4 회의를 열어 금융 현안을 점검해야 했다”며 “시장이 열려 있는 한 안정을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를 논의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마은혁 후보자 불임명에 대해서는 “국무회의 역시 헌법 기관으로서 작동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국무위원들과 함께 논의를 거쳤을 뿐”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