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권한대행은 이날 광주 서구에 위치한 ‘기아 오토랜드 광주 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자동차 산업의 관세 부과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대책을 추가로 마련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한 대행의 광주행이 갑작스럽게 이뤄졌다는 점에서 조기 대선를 노린 행보라는 해석이 많았다. 한 대행의 대권 출마설이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본인의 고향인 호남권을 찾았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한 대행은 “미국의 자동차·부품 관세로 우리 산업 전반에 충격이 예상될 것으로 보여 광주 1위 기업인 자동차산업 현장(기아 오토랜드 광주)을 방문했다”고 말했다.
한 대행은 미 정부의 자동차 관세 부과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도 정부가 관세 발효 4일 만에 자동차 관세 긴급 대응대책을 마련해준 것에 감사를 표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이행을 요청했다. 또 미국과의 자동차 관세 협상에서 최소한 경쟁국과 형평성 있는 관세여건을 확보해 달라고 주문했다.
기자 Pick
한 대행은 “정부는 관세로 인해 위축이 예상되는 국내 제조기반 유지를 위해 전기차 보조금 확대 등 내수시장을 활성화하고, 자율주행 기술의 국가전략기술 추가 지정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필요한 대책을 필요한 시기에 추가로 마련할 계획이 있다”며 “우리 산업이 이러한 큰 충격에 대해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이러한 민관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3일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다만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다음 달 3일 이전에 발효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