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 ‘언더피프틴’ 긴급 제작보고회
제작사 크레아스튜디오 대표·PD 참석
성상품화·성적대상화 등 논란 해명
[이데일리 스타in 최희재 기자] “참가자나 보호자분들이 이 프로그램에 나왔을 때 얻는 명과 암에 대해서 모르지 않습니다.”
 | 왼쪽부터 서혜진 대표, 황인영 대표, 용석인 PD(사진=뉴스1) |
|
‘언더피프틴’ 제작진이 25일 서울 상암 스탠포드호텔에서 진행된 MBN 새 예능 프로그램 ‘언더피프틴’ 긴급 제작보고회에서 아동 성상품화 논란을 부인하며 결국 눈물을 보였다. 자리에는 서혜진 크레아 스튜디오 대표, 황인영 크레아 스튜디오 대표, 용석인 PD가 참석했다. 이국용 PD는 건강상의 문제로 불참했다.
‘언더피프틴’은 글로벌 최초 만 15세 이하 K팝 신동을 발굴해 새로운 걸그룹을 육성한다는 취지의 오디션으로, ‘미스트롯’, ‘미스터트롯’ 등 히트 경연 프로그램을 제작해온 서혜진 크레아스튜디오 대표가 새롭게 선보이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이미지가 공개되면서 15세 이하 미성년자를 성상품화 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와 아동학대 의혹 등이 불거졌다. 최근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 등 시민단체들이 아동의 성 상품화를 우려하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 황인영 대표(사진=뉴스1) |
|
이날 황 대표는 “참가자들도 그렇고 보호자분들도 그렇고 제작진, 스태프들의 첫 번째 반응은 ‘우리는 그런 프로그램이 아닌데 그렇게 이야기가 되고 있지?’ 하는 거였다”라며 눈물을 보였다.
그러면서 “‘오디션은 악마의 편집이다, 걸그룹은 성상품이다’라고 하는 도식을 깨는 데에 일조하는 프로그램이 되길 바란다”고 말을 이어갔다.
 | 서혜진 대표(사진=뉴스1) |
|
강한 어조로 의혹에 부인하던 서 대표마저 눈물로 호소했다. 사서 대표는 “반댓말로 해보면 해답이 명징해진다고 생각한다. 100명이 넘는 제작진이 어린 친구들을 이용한 성 상품화를 만들어냈는가. 그분들이 아이들을 이용하여 성 착취를 하는 제작물을 만들었는가. 그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용 PD는 “참가자들이 이런 상황과 왜곡으로 인해서 상처를 많이 받고 있어서 안타까운 상황이다. 방송이 안 되는 상황은 있어서도 안 된다. 아이들이나 부모님이 받을 상처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라며 “오히려 부모님들이 제작진을 많이 위로해 주셨다”고 전했다.
이어 “아이들이 주목받고 이뤄나갈 수 있게. 결과가 END인 게 아니라 큰 꿈과 성장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사진=MBN) |
|
황 대표는 문제가 된 프로필 사진에 대해 “저희는 의도하지 않았지만 왜곡돼서 논란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참가자에게 피해가 가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 공식 사이트에서 삭제했다”며 “생각지 못한 상처를 차단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댓글창 관리나 댓글창을 닫는 것에 대해선 미리 대비하고 있었다. 근데 이번에는 여러 외부적인 요인과 연관되면서 예상치 못하게 논란이 커져버린 상황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효과적으로 대응했으면 좋았을 텐데 하는 부분이 있다”면서 “어린 참가자들이 겪을 수 있는 상황에 대해 대비하지 않았다는 건 사실과 다르다. 제작 과정에서도 다른 어떤 오디션을 진행할 때보다도 훨씬 더 소통하면서 했다”고 강조했다.
앞서 MBN 측은 방영 여부를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냈으나 제작진은 새로운 입장을 통해 본인의 참여 의사 확인 및 보호자들의 동의 하에 지원했으며, 녹화 준수사항을 엄격히 준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