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푯값 갈등, 전산망 구멍도 한몫…영진위도 책임 다해야[기자수첩]

김보영 기자I 2024.11.15 06:00:00
서울 시내 극장 전경.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관객이 낸 실제 영화푯값과 통합전산망에 보고된 금액에) 차이가 나는 부분까지는 알지 못한다.”

지난 10월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상준 영화진흥위원장은 “관객이 낸 영화푯값과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통전망) 영화푯값에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인가”를 묻는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말했다.

영화관 관람료 수익 정산을 둘러싼 극장과 제작·배급사들의 갈등은 코로나19 이후 세 차례나 인상한 영화푯값과 실제 객단가(할인 등을 다 종합해 관객이 실제로 낸 티켓의 평균 발권 가격) 간 금액 격차가 커지며 수면 위로 드러났다. 이는 올해 국회 문체위 국정감사의 주요 안건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객단가는 영진위가 운영 중인 통전망에 기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정한다. 영진위가 영화발전기금 명목으로 극장에 걷는 영화관 입장권 부과금(영화푯값의 3%. 2025년 폐지) 역시 이 통전망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다.

국감에서는 통전망에 입력된 객단가 금액이 소비자가 통신·카드사 등의 할인 혜택을 받고 실제 지불한 관람료 금액과 최대 4000원까지 차이가 난다는 지적이 불거졌다. 업계에선 영화푯값 갈등을 해소하려면 통전망 데이터와 실제 관객이 결제한 영화푯값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부터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통전망을 관리하고 부과금을 징수하는 책임 주체인 영진위는 차액 발생 이유를 묻는 국감 질의에 끝내 답하지 못했다. 영진위가 정책기관으로서 극장과 제작·배급사 간 갈등을 중재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은 둘째치고, 징수 기관의 소임마저 제대로 못 했다는 책임론도 나온다.

특히 매출액을 기준으로 박스오피스를 집계하는 해외와 달리, 우리나라의 통전망은 관객수를 기준으로 성적을 집계한다. 이 과정에서 야기된 무료 초대 및 할인권 남발 등 과당 경쟁이 객단가를 낮춰 갈등을 키우는데 한몫했다는 지적이다. 영화푯값 갈등을 잠재우려면 흥행의 척도 및 기준을 관객 수로 잡는 통전망 시스템의 허점을 개선하고, 철저한 조사로 객단가와 실제 금액에 차액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영진위의 적극적 자세가 필요한 이유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