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신협·저축은행 등 서민금융사, 상환능력평가 역량 키워야”

최정훈 기자I 2025.02.06 18:49:54

[인터뷰]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
“서민금융상품 금리 낮으면, 서민 이용 못하는 부작용”
“높은 부실률 원인은 민간 금융사 보증 위주 대출 관행”
“상환능력평가 역량 키워야…경제적 자립까지 지원해야”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신협, 저축은행 등 서민금융회사가 부동산담보 위주의 대출을 하는 등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해 서민은 필요한 자금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책서민금융은 충분하지 못한 만큼 민간 서민금융회사가 서민금융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제도 개선과 인프라 구축이 필요합니다.”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이 67일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 후 사진촬영을 위해 포즈르를 취하고 있다.
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은 6일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진행한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민간 서민금융 공급은 가계와 자영업자의 과도한 채무 규모와 경제 불안정 확대로 대출부실화 우려가 커지면서 2금융권 저신용자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축소됐다”고 말했다.

취임 3년이 지나 임기를 꽉 채운 이 원장은 한국금융연구원 출신으로 서민금융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코로나 엔데믹에도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서민,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부채규모가 커지고 상환능력이 축소돼 부담이 가중됐다”며 서민금융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배경을 설명했다.

이 원장은 햇살론15 등 정책서민금융 상품의 금리가 너무 높아 부실률이 높다는 지적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정책서민금융 상품의 금리는 민간 서민금융상품의 대출금리와 비슷한 수준으로 책정됐다”며 “정책서민금융 상품의 금리가 지나치게 낮으면 민간 서민금융을 이용할 수 있는 사람들까지 이용하면서 정책 대상 층이 이용할 수 없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높아지는 서민금융 부실률의 원인은 금리가 아니라 신용평가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민금융상품은 저신용, 저소득 취약계층이 대상이라 부실률이 일반적인 대출이용자보다 높은 것은 불가피하지만 우리나라는 지나치게 높다”며 “이는 우리나라 금융회사가 담보와 보증 위주의 대출을 관행화하면서 차주, 특히 서민 차주의 상환능력 평가 역량개발을 소홀히 한 결과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이어 “서민금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서민에 대한 상환능력 평가 역량을 키워 부실률을 낮춰야 한다”며 “서금원에서는 서민특화 신용평가모델을 기본적으로 중요한 인프라로 판단하고 재무정보가 부족한 서민의 특성을 고려해 비금융 정보를 더 많이 반영하도록 설계했고 고도화해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이 6일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 원장은 민간 금융사에서도 서민특화 신용평가모형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장기적으로는 상호금융저축은행도 서민특화 신용평가모형을 이용해 서민에 대한 신용평가 능력과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며 “금융회사가 서민금융을 취급하는 데 대한 인센티브 강화 등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 원장은 서민금융이 단순한 자금지원의 역할만을 해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부분 서민은 경제적 기반이 약하고 금융 경제 지식도 충분하지 않다”며 “단순 금융지원뿐만 아니라 온전한 경제적 자립을 위해 고용과 복지, 금융교육 등 다양한 부분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서금원은 금융지원을 받는 서민·취약계층이 취업할 수 있도록 고용지원제도를 연계하고 복지수급을 누락하지 않도록 복지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며 “서민금융종합플랫폼 ‘서민금융 잇다’를 통한 비대면 복합지원 상담을 고도화하고 전국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서민의 자립을 촉진할 수 있는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