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고물가에 산불 피해까지…농식품부 "농산물 산불피해 대책 마련하겠다"

이영민 기자I 2025.03.28 19:58:47

최대 송이 산지 영덕·마늘 산지 의성 피해
"농업인 피해·수급 영향 최소화 대책 둘 것"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대형산불이 덮친 농가의 피해 회복을 돕고, 화재로 인한 농산물 수급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28일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귀지마을에 한 밭이 산불로 검게 타 있다.(사진=연합뉴스)
농식품부는 28일 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협회에서 영남권 대형 산불로 일부 농산물 가격의 강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밝힌 것과 관련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하면서 선제적인 대책 마련을 예고했다.

이날 공개된 설명자료에서 농식품부는 “(협회가) 경북과 경남 전체가 피해를 본 것처럼 발표했다”며 “과도한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산불 진화가 계속되고 있어 작물별 정확한 피해 규모는 진화 후 파악이 가능하다”며 “산불에 따른 원예작물 피해 현황은 현재 파악 중이지만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부연했다.

앞서 한국물가협회는 자료를 통해 “경북과 경남은 사과, 마늘, 양파 주산지가 밀집한 지역”이라며 “(해당 품목의) 공급 불안정에 따른 가격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산불 피해가 크게 발생한 경북 북부권은 △의성 마늘 △청송 사과 △영양 고추 △영덕 송이버섯 등 농산물 주산지로 꼽힌다. 이 때문에 농가에서는 생산량 감소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왔다.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도 “산불 발생 인근 지역의 농축산업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지역 농산물 수급 상황도 면밀히 점검해 적기에 대응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경북도가 가집계한 사과 재배면적 피해 규모는 전국 재배 면적의 1% 남짓이고, 마늘과 양파는 수확시기가 6월 이후여서 현재 가격이 산불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사과 등 과수 생육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영농기술 지도를 강화하고 생육 회복을 위한 약제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육묘장 피해로 배추와 고추 등 채소류 정식이 늦어지지 않도록 전국 육묘장의 잉여 물량을 파악해 공급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