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트럼프에 흔들린 증시…ETF 순자산 15개월만 ‘역성장’

원다연 기자I 2025.04.01 17:18:23

3월 ETF 순자산 185.9조, 전월比 8455억 줄어
국내외 증시 하락에 주식형 6525억 감소
국내 레버리지·금 투자 ETF에 삼성·한투는 증가
미래는 1.2조 감소…ETF 시장 1·2위 격차 더 벌어져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국내외 증시가 흔들리며 지난달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15개월만에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 등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ETF 순자산 총액은 185조 926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8455억원 줄어든 것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온 ETF 시장의 순자산이 월간 기준으로 감소한 건 지난 2023년 12월 이후 1년 3개월만이다. 특히 지난달 순자산 감소폭은 지난 2022년 12월(-3조 6000억원) 이후 가장 컸다.

지난달 ETF 전체 순자산이 줄어든 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국내외 증시가 하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 한달간 나스닥종합지수는 8.21% 급락했고, S&P500지수와 다우존스도 각각 5.75%, 4.20% 하락했다. 국내 증시의 경우 코스피 지수가 2.04%, 코스닥 지수가 9.56% 하락했다.

실제 지난달 순자산 증감 규모를 상품 유형별로 보면 주식형 ETF의 순자산이 6525억원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이어 채권형 ETF의 순자산이 5816억원, 파생형 ETF의 순자산이 2456억원 줄었다. 반면 기타형 ETF의 경우 6242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주식 등 전통자산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안전자산 성격이 강한 금을 포한 원자재 ETF 등이 순자산이 늘며 기타형 ETF의 경우 순자산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상품 유형별로 엇갈린 흐름에 자산운용사간 희비도 엇갈렸다. 지난달 주요 운용사별 ETF 순자산 증감 추이를 보면 삼성자산운용은 2500억원, 한국투자신탁운용은 2700억원 증가한 반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1조 1900억원, KB자산운용은 4400억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운용의 경우 국내 레버리지 ETF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코스닥지수가 저점 수준으로 내려왔다고 판단한 개인 투자자들이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를 4849억원 규모가 순매수하며, ETF 순자산 증가를 이끌었다. 한투운용의 경우 국내 ETF시장에서 유일한 금 현물 투자 상품인 ‘ACE KRX금현물’에 지난달 975억원 규모의 개인 순매수가 몰리며 전체 ETF 순자산 감소 상황에서도 선방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ETF 시장에서 1, 2위와 3, 4위간 점유율 격차도 더 커졌다. 지난달 말 기준 삼성운용의 ETF 시장 점유율은 38.4%, 미래운용의 점유율은 34.8%로 양사 간 점유율 격차는 3.6%포인트로 전월(2.9%포인트)보다 벌어졌다. 한투운용과 KB운용의 경우 점유율은 각각 8.1%, 7.6%로 역시 전월(0.2%포인트) 격차가 커진 것으로 집계됐다.

(단위: 조원, 자료: 한국거래소)


트럼프 관세 전쟁

- 트럼프發 관세 폭탄에…‘수출효자’ 식품·뷰티도 ‘전전긍긍’(종합) - 美 '관세방망이'에 성장률 더 떨어지나…한은, 통화정책에도 영향 - 날벼락 '불닭' VS 느긋한 '농심'…관세폭탄 희비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