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삶의 필수 에너지원인 전기는 저장이 어려운 특성상 전력망을 운영하는 전력 당국이 각 기업·가정의 수요량에 따라 발전설비의 발전량을 조절하는 식으로 전력계통 내 전압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해줘야 한다. 높아도 낮아도 정전 등 문제가 뒤따른다.
공기업인 한전은 물리적인 전력설비를 관리와 함께 154킬로볼트(㎸) 미만 송·배전 자원을 관리하고, 준정부기관인 전력거래소는 154㎸ 이상의 송전망을 중심으로 국내 전체 전력계통 안정을 위한 큰 틀에서의 수요-공급 관리를 맡는 식으로 역할을 분담한다.
두 기관은 역할이 다른 만큼 전력망 운영 정보도 별개로 관리해왔다. 그러나 당국은 두 정보를 통합 운영하고자 지난해부터 데이터 기준과 시점을 맞추고 시험운영을 하며 보완 작업을 거쳤고 올 6월부터 본격적으로 정보 통합 운영을 시행키로 했다.
그러나 10년 새 발전량 조절이 어려운 태양광·풍력발전설비가 대거 들어섰고, 이 과정에서 민간 사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당국의 계통 차단 조처에 대한 반발도 커졌다.
산업부에 따르면 이런 비중앙 발전설비 규모는 2015년 5.84기가와트(GW)에서 올해 33.8GW로 5배 이상 늘었다. 전체 발전설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2%에서 22.3%로 증가했다.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신·재생 발전설비 보급과 그 비중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날 세미나에는 최연우 산업부 전력정책관과 서철수 한전 전력계통 부사장과 김홍근 전력거래소 부이사장을 비롯해 이병준 고려대 교수와 허진 이화여대 교수, 이규섭 서울대 교수, 손성용 가천대 교수 등 전문가가 전력망 정보 통합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최 정책관은 “늘어나는 재생에너지가 전력망에 성공적으로 연계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과 제어 체계 구축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