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마켓인]금감원, 사모펀드 전방위 점검 돌입…PEF 업계 긴장 고조

송재민 기자I 2025.04.01 18:59:43

출자 가이드라인 조정 임박…운용사들 촉각
차입 매수 제한 논의, 업계 ''시장 자율성'' 강조
"사회적 물의 기준 자산건전성 지표 될 것"
인수 기업 전문 경영 강화 나서는 모습도

[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 사태를 계기로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에 대한 규제의 칼날을 겨누면서 업계 전반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이 PEF의 운용방식과 투자 구조를 면밀히 살피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주요 기관투자자(LP)들도 변화하는 시장 환경을 주시하는 분위기다. 업계에서는 “시장이 조정할 일”이라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증권가 풍경. (사진=연합뉴스)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사모펀드 운용사들을 대상으로 전방위적인 점검에 착수했다. MBK파트너스가 과도한 차입을 통해 홈플러스를 인수하고 자구 노력 없이 불시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면서 논란이 일자 현황 파악에 나선 것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18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홈플러스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홈플러스 사태를 계기로 사모펀드의 경영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뒤 이후 제도 개선에 착수, 주요 PEF들에 부채비율 자료를 요청하는 등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실제 업계 곳곳에서는 조만간 공제회의 출자 가이드라인이 새롭게 발표될 것이란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국내 한 PEF 고위 관계자는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공제회,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들의 출자 가이드라인 조정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며 “올해 펀딩 사업에 나서야 하는데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차입 매수 규제 논의…PEF 반발

특히 금감원이 과도한 차입 매수를 방지하기 위한 규제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PEF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부 펀드 운용사들은 “차입을 통한 기업 인수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일반적인 투자 방식”이라며 “이를 일괄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오히려 시장의 자율적인 조정을 방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한 PEF 관계자는 “전체 기업가치(밸류)의 몇 배 수준으로 차입을 규제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접근”이라며 “무분별한 차입은 문제지만, 이를 규제해야 한다면 개별 사안별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홈플러스 사례처럼 높은 부채 부담이 결국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회적 물의’ 기준 논의…전문경영 강화 움직임도

이번 금감원의 규제 움직임과 함께, PEF의 투자 방식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킬 경우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려는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일부 금융권 관계자들은 PEF의 자산 건전성이 사회적 물의의 핵심 기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한 사모펀드 대표는 “사회적 물의에 대한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며 “투자한 기업 10곳 중 9개 기업에 대한 밸류업(기업가치 상승) 전략을 잘 펼쳐서 고용 증대 등 효과를 냈는데, 나머지 한 곳이 폐업하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것으로 봐야 하냐”고 반문했다.

한편, 홈플러스 사태 이후 일부 PEF들은 기업 경영 방식에 변화를 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한 투자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면, 최근에는 인수 기업에 대한 전문 경영을 강화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기업을 인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업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