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24일 대선 경선 2차 토론을 진행했다. 이날은 안 후보와 김 후보가 한 조가 돼 토론을 벌였다. 두 사람에 앞서선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토론했다.
‘계엄 사과’ 요구한 安…대선책임론 제기한 金
이날 양자토론에선 안 후보는 “반헌법적인 계엄령 발동으로 윤 대통령이 탄핵된 것도 명백한 사실이고 그걸 우리가 존중하고 지켜야 제대로 된 그 민주 국가가 아니겠느냐”며 “계엄은 거의 최악의 선택이었다”고 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직후부터 윤 전 대통령 탄핵을 주장해 온 그는 “국민 앞에서 먼저 진심으로 솔직하게 사과를 해야 ‘탄핵의 강’을 넘고 국민의힘이 이기는 길로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김 후보는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윤석열 정부에서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내고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해 온 김 후보를 겨냥한 발언이다.
이에 김 후보는 “우리 정치인이 먼저 해야 할 것은 당내의 단합과 민주주의”라며 “안철수 후보는 윤석열 정부 인수위원장 하지 않았느냐. 윤석열 정부 출범의 산파를 한 건데 윤석열 대통령이 잘못되면 ‘이게 아니다’ 얘기도 하고 당내 의원들을 모아 가지고 ‘이거(탄핵) 막아내자’ 이렇게 했으면 좋지 않았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자신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에 반대한다면서도 “윤 전 대통령의 계엄은 궁지에 몰려서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우리 당의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해 버림으로써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이라는 범죄 혐의로 재판을 받는 사람이 날뛰고 지금 온 전국을 휘젓고 있다”며 안 후보를 역공했다. 이에 안 후보는 “이재명 후보에게 다음 대통령이 돌아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국민이 균형 감각을 가지고 한쪽(민주당)이 국회에서의 많은 권력을 가지고 있다면 대통령 권력까지는 주진 않을 것”이라고 방어했다.
|
두 사람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거취를 두고서도 의견이 부딪혔다. 안 후보는 ‘한 대행이 대선에 출마한다면 반드시 단일화할 것이냐’는 질문에 “지금 한덕수 대행이 해야 할 일이 너무나도 많다고 본다”며 “미국의 관세 문제가 정말로 심각하다”고 말했다. 관세 등 현안을 해결하려면 한 대행이 대행직을 버리고 대선을 출마해선 안 된다는 뜻이다.
반면 김 후보는 “한덕수 후보(대행)가 출마를 안 할 것으로 보지만 출마하게 되면 우리(국민의힘) 표를 갉아먹는다. 가뜩이나 우리가 어려운 처지에서 이기기 어렵다”며 “한덕수든, 김덕수든, 누가 나오더라도 우리는 반드시 단일화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에서 김 후보는 극우 세력이 주장하는 부정선거론에 동조했다. 그는 “부정선거론에 동조하시느냐”는 안 후보 물음에 “부정 선거가 있다. 우리나라의 선거 관리가 부실하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사전투표제를 폐지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반면 안 후보는 “관리 부실은 확실히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대로 조사해야 한다”며 “만에 하나 부정선거의 증거가 발견된다면 그때부터 논의가 가능하다. 하지만 증거 없이 부정선거라고 말하긴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은 25일엔 한동훈-홍준표 후보 간 양자토론을 진행하고, 26일엔 2차 경선 후보 네 명(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이 한 자리에서 토론한다. 토론 후엔 27~28일 여론조사로 2차 경선을 진행한다. 일반 국민과 당원 선거인단 응답이 50%씩 반영된다. 타당 지지자는 여론조사에서 배제된다. 2차 경선 결과는 29일 발표한다. 2차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있다면 본선 후보로 확정되지만,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상위 2명이 다음 달 3일 결선 투표를 치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