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화마 덮친 韓..진화전문인력 부족·대피 대응이 화 키웠다

박태진 기자I 2025.03.27 18:01:38

중대본 “26명 사망…산림피해 3만6000㏊ 역대 최대”
강풍·건조한 날씨에 속수무책…진화인력 10년째 1만명
산불진화대원 중 60세 이상 70% 육박…‘고령화’도 문제
가해자 솜방방이 처벌도 대두…산불 감시시스템 만들어야

[이데일리 박태진 함지현 박진환 기자]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일주일째 인근 지역으로 확산하면서 59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최악의 사태에 직면했다. 27일 오후 현재 경남 지역에는 초속 27미터의 강풍이 불면서 시간당 8.2km 속도로 산불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어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인명피해는 사망 27명, 부상 32명이다. 주민 대피 인원은 4만여명에 이른다. 진화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중·대형 산불 지역은 모두 10곳이며 피해 산림면적은 3만6009㏊(추정치)로 집계됐다. 축구장 면적으로는 약 5만개에 해당하는 규모다.

27일 경북 안동시 길안면 마을 곳곳이 산불에 타 폐허로 변한 모습이다. (사진=연합뉴스)
이처럼 피해가 커진 데에는 건조한 날씨에 강풍, 산악지형이라는 영향이 컸지만 산불진화전문인력 부족이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공중진화대, 산불재난특수진화대, 산불전문예방진화대 등 산불진화인력은 총 1만143명이다. 특히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뽑는 산불전문예방진화대는 산불진화인력의 70%가량을 차지하고 있지만 단기 계약직인데다 6~7개월 만 운영하는 등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이들 대부분은 60세 이상의 고령층이라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한다. 반면 경찰·소방관에 준하는 체력 검정을 거쳐 공무직으로 채용되는 산림청 산불특수진화대는 현재 366명 수준이 불과하다. 소방청 산하 119산불특수대응단도 경북특수대응단과 환동해특수대응단(강원) 두 곳이 있지만 총 117명뿐이다. 이규태 충남대 연구교수 겸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장은 “대형 산불에 대비한 산불 대응 장비와 관련 예산을 확충해야 한다”며 “특히 군대처럼 조직화한 산불특수진화대의 확대·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래픽=김일환 기자)
여기에 각 지자체별 재난·대피 문자 오류 등도 도마에 올랐다. 문자로 안내한 대피장소가 이미 산불에 휩싸여 우왕좌왕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실제 산골 마을에는 고령자들이 미처 대비하지 못하고 고립된 채 피해를 입은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산불 가해자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도 화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최근 10년간 입산자 실화(31%), 쓰레기 소각(12%) 등으로 인한 산불발생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경각심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문제는 산불가해자 검거율대비 처벌비율은 한 자릿수에 그친다는 점이다. 작년 279건의 산불 중 110명이 가해자로 검거됐으나 단 8명만이 벌금형을 받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처벌 강화나 화기용품 단속 강화 보다 근본적인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채희문 강원대 산림환경과학대 교수 “정확한 산불통계를 통한 원인 분석과 함께 이를 사전에 차단하려는 실효성 있는 국가재난관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며 “이와 함께 대형 재난성 산불 재발방지를 위해 대형헬기 등 진화장비와 특수진화대 등 전문인력 확충을 추진하는 한편 임도(林道) 개설 등 진화인프라 구축도 필요하다”고 짚었다.

27일 경북 청송군 파천면 지경리의 과수원 창고가 밤새 번진 산불에 타 무너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