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에 따르면, 전입신고는 경상북도가 지난달 28일 산불 피해 5개 시군 전체 주민에 재난지원금 3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한 날부터 며칠 새 집중됐다. 일부 전입신고는 산불로 주택이 전소된 곳을 주소로 적기도 했다.
안동 역시 산불로 인한 재난지원금 지급 보도 이후 전입신고 3건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말 기준, 안동은 한달 새 340명, 의성은 15명의 인구 증가가 있었다. 이는 안동 5개월, 의성 17개월 만의 인구수 반등이다.
지역 당국은 3월 28일까지 피해 지역에 주민등록한 이들을 대상으로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
한편,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을 돕기 위해 각종 도움의 손길이 모이고 이는 가운데 일부 시민은 사실상 사용할 수 없는 물건을 착불로 보내고 있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낡아 해진 옷, 기름때 묻은 국자 등 쓰레기와 다름 없는 물품을 착불로 보내는 이들이 있는 것이다. 경북 청송에는 이렇게 쓰지 못해 버려진 구호품이 11t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헌옷 상자를 ‘착불’로 배송 받은 청송군 한 비영리 단체는 TBC에 “쓰레기로 버리는 것들을 보내줬다”며 “진짜 눈물 나고 속상하다. 전부 다 착불로 보내 70만 원 넘게 나왔다”고 하소연했다.
이번 산불 사태로 전국에서 모인 성금은 1100억 원을 넘어섰다.
경북도에 따르면 산불 피해의 복구와 지원을 위해 전국에서 모인 구호 성금이 지난 7일 오후 기준 1124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동해안 산불 당시 성금 800억 원을 뛰어넘는 것으로, 역대 재난 구호 성금 모금액 중 최대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