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머니모빌리티는 대중교통 중심의 통합 이동·결제 서비스 활성화로 경쟁력과 공공성을 강화해 새로운 모빌리티 혁신 모델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 및 운수업계와 동반 성장을 본격화하고, 전략적 제휴 및 투자 유치를 통해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티머니가 운영하던 대중교통 플랫폼 ‘티머니고(GO)’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와 부가가치사통신망(VAN) 및 전자결제대행(PG) 정산 업무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1200만명의 누적 회원을 확보하고 있는 티머니GO는 현재 △고속·시외버스 예매 △SRT 예매 △‘온다택시’ 호출 및 결제 △따릉이·타슈 등 공공 대여 자전거 △킥보드 대여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티머니모빌리티는 △교통 및 디지털 약자를 위한 사업 활성화 △지역 맞춤형 통합이동 서비스(MaaS) 사업 활성화 △지자체 협업 및 운수업계 상생 등을 중점 추진한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도 힘쓰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사회에 공헌할 예정이다. 모회사인 티머니는 기존 선불카드, 통합 정산, 제휴 사업 등에 집중한다.
이 밖에도 티머니모빌리티는 공공 교통 및 공익 서비스 인프라 고도화와 신규 서비스 발굴을 위해 카카오모빌리티와 전략적 협력을 전개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티머니모빌리티 지분 20%에서 1주 적은 19.99%로 투자를 확정했다. 외부 지분율을 20% 이내로 둔 것은 공공 플랫폼 성격을 고려한 결정이다. 나머지는 다른 투자자가 없을 경우 티머니가 모두(80.01%) 확보한다.
|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 모빌리티 서비스 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통한 생태계 확장 등 공공성에 한정해 적극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대중교통과 공공 인프라 강화를 위해 필요한 사안에 협력하고, 투자 목적의 연장선상에서 티머니모빌리티가 추진하는 공익적 사업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티머니모빌리티 관계자는 “대중교통 활성화와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성 증진 등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공익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다양한 협력을 통해 새롭고 핵심적인 모빌리티 서비스를 발굴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티머니는 서울시가 최대 주주(지분 36.16%), LG CNS가 2대 주주(32.91%)로 있는 비상장 주식회사다. 2003년 10월 설립해 서울시 교통카드·환승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고속·시외·시내버스와 지하철 및 택시 등 교통 결제 및 예매 서비스를 하고 있다.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3년 매출액은 2996억원, 영업이익 184억원, 당기순이익 331억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