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협 측은 “이해당사자인 전공의협회에서 직접 토론회에 나서는 만큼 의료계와 정부·국회 삼자 간 의견이 잘 조율돼 의료 대란 극복의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는 이르면 내일 의대가 있는 대학 총장, 의대 학장들과 만나 보건복지부 및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추계위)에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0명’으로 해야 한다고 건의할 예정이다.
의대 증원 필요성은 있지만, 의대생들이 정부 방침에 반발해 2년째 돌아오지 않는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의료 인력 양성도 추진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2026학년도는 증원 전의 정원(3058명)과 동일하게 하자는 것이다. 당초 대학 총장들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0명 증원’인 3058명으로 하자는 방안에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그러나 개강 후 2024학번 뿐 아니라 2025학번도 휴학에 동참하는 흐름이 형성되자, 학생들을 먼저 돌아오게 하는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진다. 정부 역시 처음엔 과학적 근거를 대야 의대 증원 방침을 바꿀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정부 내에서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3058명 확정을 경계하는 분위기도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의료인력 수급추계위가 이른 시일 내 법제화될 경우, 내년도 의대 정원을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일각에서는 대학 총장이 요구한 2026학년도 의대 정원 3058명을 정부가 받아들이기 전에 의대생들의 3월 복귀가 전제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