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는 ‘고 장제원 전 의원의 성폭력 사건, 수사종결 말고 성폭력 가해 사실 공식 발표하라’는 긴급 연명을 36시간동안 진행한다고 밝혔다.
|
그러면서 “수사기관은 고소인 진술조서, 피의자 진술 그리고 확보된 여러 증거들을 바탕으로 이 사건의 혐의에 대한 실체를 상당부분 확인했다”며 “사건 당시 상황을 증언할 수 있는 참고인이 존재하고, 이 사건은 전형적인 권력형 성폭력으로 사회적 파장도 크다”고 짚었다.
이들은 오는 9일 오전 10시 긴급 연명 자료를 서울경찰청에 제출한 뒤 서울경찰청과 면담도 요구하겠단 방침이다.
장 전 의원의 고소인의 법률 대리인을 맡은 김재련 변호사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장제원 전 의원 성폭력사건은 그가 사망하기전 80% 정도 수사가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명백한 성폭력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가해자가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이유로 혐의유무에 대한 실체적 판단을 포기하는 것은 ‘직무유기’나 다름이 없다”고 말했다.
당초 김 변호사는 지난 1일 장 전 의원에 대한 고소인측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장 전 의원이 지난달 30일 밤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기자회견을 취소한 바 있다.
장 전 의원은 지난 1월 고소인 A씨로부터 성폭력 혐의로 피소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었다. A씨는 지난 2015년 11월 장 전 의원이 부산 한 대학교 부총장으로 지내던 시절 비서로 근무하다가 성폭력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장 전 의원은 이를 부인했지만 A씨 측은 사건 당시 상황을 담은 동영상과 해바라기센터에서 응급키트로 채취한 남성 DNA 등을 경찰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장 전 의원은 지난달 31일 오후 11시 45분께 서울 강동구 한 오피스텔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타살 혐의점은 없었으며 현장에서는 장 전 의원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유서가 발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