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용훈 한국은행 금융시장국장은 3일 부동산 신용집중을 주제로 열린 한은-금융연구원 공동 콘퍼런스에서 “우리나라의 부동산 신용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1932조 5000억원으로 전체 민간신용의 절반 정도(49.7%)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2014년 이후 연간 100조원가량 증가하면서 2013년 말보다 2.3배가 늘었다.
국내 금융기관의 자금이 부동산에 집중적으로 몰리면서 정작 투자가 필요한 신성장 산업과 혁신기업에는 충분한 자금이 투입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면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악화되고 신용 공급이 축소되면서 민간소비와 투자가 제약될 우려도 있다.
이처럼 민간 신용의 절반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간 원인으로는 금융권의 담보와 보증대출 중심 보수적 영업 관행이 꼽힌다.
김형원 금융감독원 은행감독국장은 “금융회사 본연의 자금중개기능과 경제 전반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 부동산 쏠림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은행이 자체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생산적 부문에 대해 자금공급을 확대할 수 있도록 규제 유인체계 개선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