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검찰총장 자녀의 외교부 공무직 근로자 채용과 관련해 제기된 문제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을 구하기 위해 감사원에 공익 감사를 청구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감사원 감사가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채용에 대한 결정은 유보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A씨는 외교부의 정책조사 공무직 근로자(연구원직)에 응시해 서류 및 면접 전형절차를 통과했고 신원조사 단계에 있었다.
당국자는 최종 채용 결정을 유보하는 배경에 대해 “(감사와 채용은) 별도의 사안”이라면서 “감사원 판단을 기다리는 가운데 채용을 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결정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공익감사는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사안에 대해 감사대상 기관의 장이나 지방의회, 국민, 시민단체 등이 감사를 청구하면 감사원이 심사해 감사하는 제도다.
감사 결과 시정할 부분이 드러나면 감사원은 해당 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처분을 내리거나 개선을 권고한다. 규정상 감사를 실시하기로 결정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감사를 종결해야 한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들은 외교부가 1차 채용 공고 이후 A씨 ‘맞춤형’으로 응시 자격을 바꿔 재공고를 냈으며, 인턴 활동 기간 등을 ‘경력’으로 산정했다면서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외교부는 이에 채용 절차는 관련 법령에 따라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부당한 주장”이라는 입장을 이어오고 있다. 외교부가 먼저 자발적으로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한 것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채용 관련 논란이 거세지는 상황에 의혹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한편 이날 민주당은 A씨의 특혜 채용 의혹 진상 규명을 위한 진상조사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조사단장으로는 해당 의혹을 처음 제기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한정애 민주당 의원이 내정됐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심 총장 자녀에 대한 특혜 혹은 특혜 채용 비리와 관련해서 민주당은 철저하게 진상을 파헤칠 것이고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