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 실장은 지난해 3월 말~4월 초 삼청동 안가에서 진행된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등이 참석한 만찬에서 윤 대통령이 정치적 상황을 두고 토로한 것을 두고 “정확한 워딩은 기억나지 않지만 (윤 대통령이) 비상조치를 해야 되지 않겠냐는 취지로 발언했다”며 “다만 그 당시에는 계엄까지는 생각 못했고 어떤 경우든 적절치 않고 좋은 해결책이 아니라고 의견을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전 장관과 여 전 사령관과의 차담 자리에서 “당시 경호처장으로서 대통령을 근접해 모시는 김용현에게 ‘대통령을 잘 모셔라. 대통령 잘 모시는 길이 그런 말씀(계엄 등)을 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부하 된 도리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덧붙였다.
신 실장은 윤 대통령이 계엄 해제 후 제2의 계엄 등을 선포할 것이란 의혹에 대해서는 “그런 우려는 전혀 하지 않았고 4일 오전 1시55분경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계엄 해제하시죠’ 하자 윤 대통령이 바로 승인한 만큼 제2의 계엄을 생각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윤 대통령이 지체 없이 바로 (계엄 해제를) 하자고 해서 국무회의하고 해제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를 위해 국방부 장관 및 장성급 인사를 단행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저는 대통령의 진의가 왜곡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서는 “선관위가 국민 의혹이 있는 사항에 대해 압수수색을 받아오면 서버 포렌식을 해준다는 발언을 할 게 아니라, 먼저 절차를 다해서 의혹을 털고 가는 게 헌법기관으로서 마땅한 자세라고 보냐”는 질문에 “사실 여부 관계 없이 국민 다수가 의혹을 갖고 있다면 의혹을 해소시키는 게 공직자의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