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능은 2000년대 초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라는 기술의 발달로 시작됐다. 기존 유압 방식으로 변속을 하는 대신 전기 신호로 가기어 변속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의 범주 안에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 스로트 바이 와이어,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시프트 바이 와이어, 파크 바이 와이어 등이 포함된다.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의 가장 보편화 된 기술로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가 가장 친숙하다. 스티어 바이 와이어는 전자식 스티어링 휠(현대차의 MDPS가 이 방식)을 떠올리면 된다. 유압 대신 전기 모터를 이용해 스티어링 휠을 돌리는 방식이다. 다만 완전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로 진화하기 위해선 스티어링 휠과 랙의 직접 연결이 아닌 전기 신호로 랙을 제어해야 한다. 멀지않은 미래에 가능한 기술이다.
먼저, 전자식 변속 버튼을 사용하게 되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진다. 일반적인 유압식 기어 노브를 사용하면 전자 신호가 아닌 기계적 변속을 한다. 이럴 경우 기어봉 아래로 복잡한 기계장치가 자리를 잡는다. 자연스럽게 공간 활용성이 떨어 질 수 밖에 없다. 반대로 버튼식(전자식)을 사용한 경우는 커다란 기계장치가 필요 없다. 자연히 실내 공간을 넓게 설계할 수 있다. 일례로 팰리세이드의 경우 전자식 변속 버튼 아래에 상당히 큰 수납 공간을 마련했다. 전자식 변속 버튼을 택한 신형 쏘나타도 기계장치가 빠진 넓은 센터 콘솔 같은 수납 공간을 확보했다.
전자식 변속 버튼을 직접 사용한 소비자의 반응은 ‘처음에 어색하지만 익숙해지면 편리하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다만 주차를 할 때나 좁은 도로에서 유턴하는 등 전진과 후진을 빠른 시간 안에 반복해야 할 경우 일반적인 기어봉보다 불편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전자식 기어봉이나 전자식 변속 버튼의 경우 오조작을 방지하는 기능도 포함된다. 주행 중에 실수로 버튼을 조작하더라도 작동하지 않는다. 앞으로 출시되는 현대기아 신차는 버튼식 변속 버튼이 대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수납 공간 확보라는 이유 외에도 보다 미래형, 아니 자율주행에 근접한 자동차로 보일 수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