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국회에 따르면 연금개혁특위 여야 간사는 지난 8일 특위 산하 민간자문위원회의 1차 보고서 제출을 앞두고 민간자문위 공동위원장과 회동했다. 특위 여당 간사인 강기윤 국민의힘 의원은 “공적연금에 대한 구조개혁이 선행돼야 차후 모수개혁이 나올 수 있다”며 “지금 모수개혁을 논의할 상황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했다.
|
여야 모두 “모수개혁은 5년마다 정부가 재정추계를 통해 하도록 돼 있는데 일정부분 정부 몫이 강하지 않은가”(강기윤 의원),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은 정부가 10월에 국민연금 종합계획을 내면 국회가 최종 결정할 사안”(김성주 의원)이라며 정부가 모수개혁을 추진할 주체라고 입을 모았다.
모수개혁에 집중해왔던 민간자문위의 방향 수정도 불가피해졌다. 지난달 3일 민간자문위 중간보고 당시 김연명 공동위원장은 “방점은 모수개혁에 찍혀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민간자문위는 국민연금 개혁에 대해 ‘더 내고 더 받는 안’(보험료율 9→15%, 소득대체율 40→50%)과 ‘더 내고 지금처럼 받는 안’(보험료율 9→15%, 소득대체율 40% 유지) 등을 논의했지만 이견을 보이며 합의에 이르진 못했다.
국회가 연금개혁 방향을 급선회한 배경엔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을 두고 여론이 부정적인 데다 연금개혁을 추진하는 프랑스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지는 등 정치적 부담이 가중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문재인 정부 때도 국민연금 모수개혁 결정권을 국회에서 경제사회노동위원회로, 다시 국회로 서로 떠넘기다가 개혁에 실패했다.
결국 연금개혁특위 활동도 당초 기한으로 정해둔 4월을 넘길 가능성이 커졌다. 이미 민간자문위의 보고서 제출 기한도 지난달 말에서 이달 말로 한 달여 늦춰졌다.
김 의원은 “정부가 종합계획을 제출하는 10월 전까지 국회가 특위를 중심으로 기초연금,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연계, 퇴직연금 활용 등 구조개혁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강 의원도 “노후소득 보장체계를 연구 검토하고 선진 사례를 보는 등 해야 할 일이 많다”며 특위 활동 기한 필요성을 거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