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에 더해 지난 1월 발표된 ‘상장폐지 제도 개편안’도 상장 요건을 한층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개편안에 따라 코스피 및 코스닥 시장에서 퇴출 요건이 상향 조정되었으며,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경쟁력 낮은 기업이 원활하게 퇴출돼야 신규 상장이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IPO 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나오고 있다.
특히 기술특례상장제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스타트업 업계의 긴장감도 커졌다. 기술특례상장은 수익성이 부족하더라도 높은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으면 상장이 가능하도록 한 제도다. 하지만 최근 당국이 기술특례상장 기업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면서, 실제로 기술특례상장을 추진하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기술특례상장은 그동안 스타트업이 빠르게 자금을 조달하고 VC들이 엑시트를 단행할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심사 기준이 엄격해지면서 기존 전략이 통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해 한 VC 관계자는 “IPO 시장을 강화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지나치게 투자자 보호에 초점을 맞추다 보면 결국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자체가 고사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VC들은 기존 IPO 중심의 엑시트 전략이 어려워질 것을 우려하며,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국내 스타트업 투자가 활발했던 이유 중 하나는 비교적 빠른 엑시트가 가능했기 때문인데, IPO 시장이 경색되면 투자 회수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다.
다만 IPO 문턱이 높아진 것이 생태계 전반에 부정적 영향만 미치지는 않는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단기적으로는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다른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심사 기준이 강화되면 당장은 부담될 포트폴리오가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건전한 기업들이 상장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성장성이 검증된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것이 더 중요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