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마켓인]강화된 IPO 문턱에…엑시트 고민 깊어진 VC

송재민 기자I 2025.03.27 18:55:38

금융당국, IPO 예정 기업 재무 심사 강화
기술특례 심사 강화…스타트업·VC 긴장 고조
투자자 보호 V S스타트업 생태계 위축 갈등

[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 최근 금융당국이 기업공개(IPO) 심사 기준을 대폭 강화하면서 벤처캐피탈(VC) 업계가 투자금 회수(엑시트) 전략을 재검토하는 분위기다. 기존에는 기술특례상장 등을 활용해 비교적 빠른 회수를 기대할 수 있었으나, 상장 심사 및 상장폐지 요건이 엄격해지면서 이러한 전략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커졌다.

(사진=이미지투데이)
2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IPO 예정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심사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최근 몇 년간 코스피 및 코스닥 시장에서 상장 직후 주가가 급락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시장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기존에는 자산 1조원 이상 기업만 재무제표 심사 대상이었으나, 앞으로는 자산 5000억원 이상 기업도 심사 대상에 포함된다.

여기에 더해 지난 1월 발표된 ‘상장폐지 제도 개편안’도 상장 요건을 한층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개편안에 따라 코스피 및 코스닥 시장에서 퇴출 요건이 상향 조정되었으며,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경쟁력 낮은 기업이 원활하게 퇴출돼야 신규 상장이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IPO 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나오고 있다.

특히 기술특례상장제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스타트업 업계의 긴장감도 커졌다. 기술특례상장은 수익성이 부족하더라도 높은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으면 상장이 가능하도록 한 제도다. 하지만 최근 당국이 기술특례상장 기업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면서, 실제로 기술특례상장을 추진하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기술특례상장은 그동안 스타트업이 빠르게 자금을 조달하고 VC들이 엑시트를 단행할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심사 기준이 엄격해지면서 기존 전략이 통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해 한 VC 관계자는 “IPO 시장을 강화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지나치게 투자자 보호에 초점을 맞추다 보면 결국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자체가 고사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VC들은 기존 IPO 중심의 엑시트 전략이 어려워질 것을 우려하며,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국내 스타트업 투자가 활발했던 이유 중 하나는 비교적 빠른 엑시트가 가능했기 때문인데, IPO 시장이 경색되면 투자 회수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다.

다만 IPO 문턱이 높아진 것이 생태계 전반에 부정적 영향만 미치지는 않는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단기적으로는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다른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심사 기준이 강화되면 당장은 부담될 포트폴리오가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건전한 기업들이 상장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성장성이 검증된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것이 더 중요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