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무위원들은 이날 손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과 관련해 원인과 개선 방향을 따져 물었다.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내부 통제가 작동하지 않은 원인에 우리금융 파벌 문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임 회장은 “우리은행이 여러 은행이 합하다 보니까 통합은행으로서의 성격 때문에 일부 계파적인 문화가 잔존하는 건 사실”이라고 수긍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에 대한 질타도 이어갔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은행 사태는 정권의 금융기관 인사 개입”이라며 “금감원장이 특정 금융회사의 인사에 이렇게 깊이 영향력을 미치는 상황이 맞다고 보느냐”고 질타했다.
다만 임 회장은 “인사 개입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임 회장은 “최근 금감원장의 우리금융에 대한 언급은 이번 부당대출 사건을 계기로 해서 기업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경영진의 각성, 쇄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걸로 이해하고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부당대출에 대해 감독하는 것이지 인사 개입이라고 보는 것은 조금 지나치다”고 했다. 사퇴하겠느냐는 질의엔 임 회장은 “지금은 조직의 안정, 내부통제 강화에 신경 쓸 때”라며 “제가 잘못해서 책임져야 할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고 했다.
MG손해보험 매각 과정에서 메리츠화재에 특혜를 주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은 ‘수의계약으로 추진되는 MG손보 매각이 사실상 메리츠화재에 몰아주기 위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김병환 위원장은 “금융위 업무의 신뢰를 흔드는 말”이라며 반박했다. 그는 “MG손보는 부실금융 기관으로 지정돼 스스로는 정상화시킬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3차에 걸쳐 매각 시도가 모두 유찰된 이후 수의 계약 형태로 전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 판매와 관련해 김 위원장은 “제도를 어떻게 바꿀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은행이 고위험 상품을 팔기 위해 고객을 고위험군으로 내몬 것 아니냐’는 박상혁 의원의 질의에 “ELS 사태 이후 고위험 상품에 대해 유의하고 있다”며 “의견이 나뉘는 부분이 있어 공청회를 거치려고 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