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외경제자문회의는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응해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 및 정책 제언을 경청하기 위해 작년 4월 도입한 비상설 회의체이다.
최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미 관세조치 대응이 단판이 아닌 시간이 걸리는 과정인 만큼, 다른 나라의 대응 동향 등을 봐가며 최적의 협의 전략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방미 등을 통해 미국 측의 구체적인 (관세정책에 대한) 입장과 향후 계획을 파악하고 여타국 동향도 면밀히 분석해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등을 통해 대미 협의방향에 반영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회의에서 민간 전문가들은 미국 신정부가 무역적자·재정적자 해소, 효과적인 대중 견제를 위해 대외정책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있으며 최근 관세조치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미국 내 이해관계자별로 상이한 반응과 국가별로 엇갈린 대응이 이어지고 있어 향후 전개양상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대미 협상을 앞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해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민간 전문가들은 또 미국의 관세조치에 따라 자동차·자동차부품을 중심으로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수출경쟁력 강화, 수출 다변화 촉진 등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이에 “기업들이 어려운 시기를 잘 이겨낼 수 있도록 시급한 부문에 대한 지원방안 마련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최 부총리는 국내 대책과 관련해 “이번 주중 자동차산업 지원방안을 마련·발표하고, 중소·중견기업 등 취약부문과 업종별 대책도 신속히 마련해 나가겠다”며 “당면한 도전이 우리 경제를 근본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등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다.
한편 최 부총리는 최근 미 관세조치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24시간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하면서 과도한 변동성에는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