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은 블룸버그에 쉬인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일부 생산기지를 해외로 이전하려 했으나, 최근 제조업 이탈을 막으려는 중국 정부의 반대에 부딪혔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해외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면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다는 위협이 중국 관리들에게 상당한 우려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당초 쉬인은 지난해부터 공급망 다각화를 추진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미 대통령 선거 캠페인을 펼치면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이에 쉬인은 중국 내 주요 납품 업체들이 베트남을 비롯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공장 투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계획을 모색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하기 며칠 전에 중국 정부로부터 중단 요청이 들어왔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과 3월 중국산 수입품에 각각 10%의 추가 관세를, 이달 2일에는 상호관세 34%를 부과했다. 추가 관세만 총 54%에 달한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직후 800달러 미만 소액 상품에 관세를 면제해주는 ‘최소기준 면제’ 규정을 폐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이에 따라 5월 2일부터 중국과 홍콩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상품에는 물품 가치의 30% 또는 개당 25달러(6월 1일 이후엔 개당 50달러로 인상)의 관세가 부과된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소액면세 제품의 평균 가격은 54달러로, 6월 1일부터는 제품 가격 만큼 관세를 부과해야 하는 셈이다.
이는 쉬인 뿐 아니라 또다른 중국 이커머스 업체인 테무, 알리익스프레스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들 업체는 미국에서 의류에서 가정용품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제품을 800달러 미만에 판매해 왔다.
결과적으로 해외로 생산기지를 옮겨 관세를 피하려던 쉬인의 전략은 중국 정부에 의해, 저가 제품으로 관세를 피하려던 박리다매 전략은 미국 정부에 의해 각각 막히게 된 것이다. 현재 쉬인은 공급망 다각화 없이 미국의 관세를 어떻게 피할 것인지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기업들은 트럼프 집권 1기 때에도 관세 부과 이후 해외로 생산기지를 대거 이전한 바 있다. 실례로 현재 캄보디아 공장의 절반 이상이 중국인 또는 중국 기업 소유다. 하지만 이번에 중국 정부가 제동을 걸었다는 것은 같은 상황이 반복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뜻으로 읽힌다.
블룸버그는 “중국 내 제조업을 보호하려는 정부의 노력과 끊임없이 상승하는 비용을 절감하려는 기업 간 갈등이 충돌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집중포화에 맞서는 싸움에서 중국과 수출업체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한편 미국 내 일부 틱톡 인플루언서들은 최소기준 면제가 폐지되기 전까지 알리익스프레스, 쉬인, 테무 등에서 초저가 상품을 대량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