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어비앤비로 공유숙박을 운영 중인 김미애 씨가 호스트로서의 경험을 공유하며 한 말이다. 패션 디자이너였던 김미애 씨는 자녀를 낳으며 경력이 단절됐고 12년간 전업 주부로 생활했다. 김미애 호스트는 “주부로 살면서 나를 위한 삶이 없었고 아이가 다 크고 나서야 이젠 내 노후를 준비해야 한다는 현실적 압박을 느끼게 됐다”며 “나는 여전히 일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었지만 어떤 일을 해야 할지 방황하고 있을 때 에어비앤비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에어비앤비는 오늘(5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호스팅은 나의 힘: 새로운 꿈을 여는 우리들의 이야기’를 주제로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에는 에어비앤비 호스트로서 첫발을 내딛게 된 3인의 여성 호스트가 참석해 경험담을 나눴다. 세 호스트는 서울시 여성가족재단과 에어비앤비가 협업한 호스트 양성 과정을 통해 공유숙박업에 입문했다. 차민 호스트는 “막상 호스팅을 시작하려니 인테리어부터 손님맞이까지 아무것도 몰라 막막했다”며 “양성 과정을 통해 에어비앤비 등록부터 마케팅까지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여성 호스트는 에어비앤비 내에서 핵심 플레이어 역할을 맡고 있다. 에어비앤비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 세계 및 한국인 호스트 모두 여성의 비율은 약 55%로 과반 이상의 수치를 기록했다. 국내 여성 호스트 중 후기를 통해 별점 5개 이상을 받은 비율도 절반 이상인 64.4%를 차지했다. ‘게스트 선호 숙소’ 내 여성 호스트의 비중도 56.1%로 절반을 차지했다. 차민 호스트는 “여성 호스트이다 보니 아무래도 여성 게스트들이 맘 편히 쉬러 오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여성 전용 개인실을 운영하는 김현숙 호스트는 “전 세계에서 오는 여성 게스트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매일이 세계 여성의 날 같다”며 “각국의 여성들이 서로 삶을 공유하고, 공감하는 모습을 보면 ‘이게 바로 글로벌 연대구나’ 싶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세 호스트들은 자신의 강점을 활용해 새로운 숙박 문화를 만들고 있었다. 문화관광해설사로 근무하고 있는 김현숙 씨는 “관광지 해설을 원하는 외국인 게스트에게 문화관광 해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에어비앤비를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는 기회의 장으로 활용 중”이라고 전했다. 차민 씨는 “일본어가 가능하다는 제 프로필을 보고 한국어 과외를 해달라는 요청과 함께 장기 예약을 한 일본인 게스트가 있었다”며 “단순히 방을 빌려주는 게 아니라 내 개성과 철학을 녹여 숙소 자체가 하나의 브랜드가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교훈을 느꼈다”며 경험을 공유했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과 에어비앤비는 올해 호스트 양성 프로그램 확대를 논의 중이다. 참가자를 늘리고, 지역별 지원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김미애 호스트는 “에어비앤비를 통해 50대에 새로운 꿈과 가능성을 발견했다”며 “에어비앤비 호스팅을 고민하는 경력 단절 여성에게 ‘일단 그냥 해봐라’라고 말해주고 싶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