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함께 그는 “국내 산업과 고용에 미칠 영향을 철저히 분석한 뒤 필요한 대응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관세 부과 방침에 대응해 전국 약 1000곳에 특별 상담 창구를 설치해 국민들의 불안에 대응하고 자금 지원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과 일찌감치 만나 각종 ‘선물 보따리’를 선사하는 등 관세 관련 대응에 나섰으나, 아직 관세 면제 등과 같은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상품권 스캔들’과 관련해 “국민 정서와 동떨어졌다는 점을 솔직하게 인정한다”면서 다시 한번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도 중의원(하원) 해산, 연립 정부 재편 등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는 “그런 일은 현재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일축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달 초 총리 관저에서 자민당 초선 중의원 의원 15명과 만찬에 앞서 이들에게 1인당 10만엔(약 100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전달, 논란이 됐다. 이후 내각 지지율이 급락하기도 했다.
그는 지지율 급락에 대해서는 “모든 책임은 내게 있다”면서 “겸허히 받아들이고, 철저히 반성한 후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야당이 요구하는 기업 및 단체의 정치 헌금(후원금) 금지에 대해서는 “각 당 등과 협의를 계속해 실질적인 결론이 도출될 수 있도록 진지한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답했다.
그는 또한 전날 예산안 통과와 관련해 “당파를 초월한 정책 협의와 국회 내 심의 내용을 반영한 것으로, 국회가 숙의한 성과”라고 설명했다. 이시바 내각은 소수 여당 체제로, 중의원과 참의원(상원) 양쪽에서 모두 예산안이 수정된 것은 일본 현행 헌법 하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고 교도통신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