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차이나 대표를 역임한 리카이푸는 중국 IT업계의 권위자로 꼽히며, 스타트업 01.AI의 창립자로 현재 AI 벤처 투자자로 활동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AI 산업을 국가 전략으로 지정하고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 정부 차원에서도 AI 투자 및 개발 지원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딥시크는 개방형 AI 모델을 통해 중국의 AI 개발을 가속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리카이푸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에도 중국 AI 기업들이 오히려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이 엔비디아 칩을 차단했지만, 딥시크, 문샷(Moonshot), 지푸(Zhipu), 미니맥스(Minimax), 바이두와 같은 기업들은 그 제한 속에서 더욱 혁신적인 방식을 찾아냈다”며 “결과적으로 제재는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리카이푸는 “오픈AI의 운영 비용이 작년 기준 70억 달러라면 딥시크는 그 2% 수준의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오픈AI의 모델이 지속 가능할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그는 “딥시크는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개발자들에게 제공된다”며 “이런 강력한 경쟁자가 등장한 상황에서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아마도 잠을 잘 못 이루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I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 AI 모델 개발은 점차 대형 기술 기업 중심으로 수렴되고 있으며, 대신 AI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관측했다. 리카이푸는 AI 투자 흐름이 변화한 가운데 VC(벤처 캐피털)들은 더 이상 AI 모델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AI 투자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하지만 더 이상 누구도 AI 모델 개발에 직접 투자하려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제 투자자들은 AI 인프라, 응용 소프트웨어, 기업용 및 소비자용 애플리케이션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