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한국중고수출협회’ 출범…‘K중고거래’ 글로벌화 이끈다

김정유 기자I 2025.03.27 15:09:42

번개장터·마인이스 등 9개사 최근 협회 발족
고대석 협회장 “중고산업 안정적 수출 지원 목적”
‘중고 역직구’ 잠재력에도 이중과세 등 부담 여전
“세제 혜택·정책 지원 필수, 정부에 개선 요청할 것”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국내 리커머스(중고거래) 사업자들이 하나로 뭉쳤다. 최근 국내 중고거래 산업이 수출 시장으로까지 영역을 확장하자 업계에 필요한 정책 지원, 법·제도 개선 등을 이끌 ‘연합체’가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다. 중고거래 산업이 수출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될 전망이다.

그래픽=김정훈 기자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번개장터, 딜리버드코리아, 마인이스(차란), 만나컴퍼니(K프라이데이) 등 9개사는 최근 ‘한국중고수출협회’를 출범하고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했다. 회장사는 중고거래 플랫폼 번개장터다. 초대 협회장도 번개장터의 고대석 글로벌사업개발총괄이 맡았다. 국내 중고거래 플랫폼 사업자들이 협회를 출범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고대석 협회장은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 소비와 순환경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중고 산업 역시 새로운 기회를 맞았다”며 “중고수출협회는 국내 중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수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립됐다”고 밝혔다.

중고수출협회는 중고 산업 육성과 해외 판로 개척, 정책 연구 등을 통해 중고 수출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중고수출협회는 현재 회원사 9개사 외에도 중고 수출업을 수행하는 다양한 기업들을 추가로 포섭할 계획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국내 해외직접판매액(역직구)은 2014년 6791억원에서 2023년 1조 6972억원까지 늘었다. 경기 불황으로 소비 침체가 길어지면서 ‘역직구 산업’이 국내 유통업계에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셈이다.

최근엔 중고품 수출도 시장을 키우고 있다. 번개장터는 2023년 해외 이용자 전용 중고거래 서비스 ‘글로벌 번장’을 론칭했는데, 1년 만에 이용자가 131% 늘었다. 지난해 거래액은 2023년대비 63%, 거래 건수는 46% 증가했다. 최근 K팝 등 한류를 타고 관련 중고 상품 수요가 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글로벌 번장에서 거래되는 카테고리 중 70%가 ‘스타굿즈’로, 이중 30%가 K팝 스타들의 포토카드류다.
번개장터 역직구 서비스 ‘글로벌 몰’에 올라와 있는 K팝스타 BTS의 포스터 중고 제품. (사진=번개장터)
중고품 수출은 주요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해 개인 또는 영세업체들도 쉽게 나설 수 있어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다. 유통업계에서도 관련 시장 성장 잠재력이 높다고 보고 있다. 중고 플랫폼 업계 한 관계자는 “해외 이용자들이 한정판이나 단종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고거래 시장의 수출 잠재력이 점점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중고품 수출업은 아직 국내 시장에선 생소해 법적 제도나 기반이 명확하지 않다. 진입장벽이 낮아 개인 및 비사업자 거래가 많다는 점이 오히려 독으로 작용한다. 중고품 매입 과정에서 세금계산서나 거래증빙자료가 없어 부가세를 재납부해야 하는 상황이 많다.

또 일반 수출업자의 경우 영세율(세율 0%)이 적용돼 매입세액이 전액 환급되지만 중고품 수출업자는 증빙자료 부재로 공제가 불가하다. 중고품 수출업자들의 규모가 일반 수출업자대비 더 작지만, 오히려 세금부담률은 더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중고거래 업계에선 조세특례제한법 제108조에 ‘중고품 수출업자’를 추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영세율을 적용받는 대상(부가세의제매입 대상)에 중고 수출업을 추가하자는 의미다. 기존 법 조항 대상으로는 재활용폐자원 및 중고자동차까지만 명시돼 있다.

물론 법 개정이 쉽지만은 않은 게 현실이다. 중고품 수출업자의 진입 장벽이 낮은 만큼 자칫 과도한 세제 지원이란 비판을 받을 수도 있고, 형평성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

하지만 해외에서도 이미 중고거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세제 확대 정책을 펼치고 있는 만큼 흐름을 따라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에선 최종 소비단계에만 소비세를 부과하고 있고, 유럽연합(EU)도 중고품 대상으로 마진과세제도, 정률보상제도 등을 적용해 부담을 낮추는 추세다.

중고수출협회는 이처럼 중고품 수출 산업에 대한 법·제도 개선 목소리가 커짐에 따라 올해 관련한 대관 활동에 집중할 계획이다. 중고수출협회 관계자는 “중고품 수출이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세제 혜택과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협회를 중심으로 업계 의견을 모아 정부에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